우수논문

  • HOME
  • 연구성과
  • 우수논문

인쇄

장려상 5공화국 외교정책의 형성과 전개

우수논문 상세정보
구분 제5회 장려상 연구자 김응서

 The Foreign Policy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5th Republic in Korea
: Cases of KAL 007 Shoot-down and Rangoon Bombing in 1983






국문 초록
  1980년대는 변화와 함께 시작하였다. 국제적으로 데탕트 이후 신냉전의 도래로 안보 위기가 가중되었고, 한국의 국내정치는 두 번의 군부 쿠데타로 신군부가 새로운 정책결정자로 등장했다. 위기와 변화가 동시에 진행 중인 상황에서 전두환의 신군부는 대외관계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통해 정권의 안정을 확보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었다. 이에 한미관계의 회복과 강한 정책 공조, 일본의 정치경제적 활용, 외교전에서 대북 우위 확보, 국제행사의 적극적 참여 및 유치, 4가지를 정책적 우선순위로 설정하고 실행하고자 했다. 당시 동아시아에 형성된 신냉전의 안보 위기는 위의 정책들이 안정적으로 도입, 유지되는 배경이 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신군부는 정권의 정통성 한계를 극복하고 국내정치의 안정을 확보할 수 있었다.
  1983년 9월, 10월 발생한 KAL기 격추와 아웅산 테러사건은 5공화국을 충격에 빠트림은 물론 신냉전의 불안한 안보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었던 주변 강대국들을 더욱 긴장하게 만들었다. 국내적으로 5공화국은 사회주의 대국 소련과 비동맹 국가 버마를 상대해야 하는 외교적 도전이었고, 대외적으로 한반도가 냉전 시기 가장 취약한 지역임을 다시 확인시켜준 사건이었다. 한반도의 안보 상황이 악화한 상황 속에서 큰 도전에 직면한 5공화국은 정권 초기 형성된 정책들을 적극 활용하고자 했다. 이에 사건을 반인도적 테러로 규정하고, 비군사적 조치로 대응하고자 하였으며, 우방국과의 협조와 국제기구의 지지를 확보하고자 했다. 또한 외교와 안보의 분리시켜 북방정책을 추진하고, 국제법을 통해 소련과 북한의 제재를 추진하였다.
  KAL기 격추와 아웅산 테러사건을 통해 한국 정부가 얻은 성과도 적지 않았지만 부작용도 상당했다. 5공화국의 북방정책은 지체되었으며,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역량이 여전히 제한적임이 드러났다. 이러한 5공화국의 외교적 한계는 신냉전이라는 구조적 환경의 압도적 제약에서 기인했다. 한국은 미국과 일본 등 우방국의 안정적인 지원을 얻어내기 위해 어느 정도의 안보 불안이 필요했지만 반대로 KAL기 격추와 아웅산 테러 사건과 같은 극도의 위기 상황에서 한국 정부가 자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외교적 공간을 극도로 줄어들 수밖에 없었다. 결국 한국의 외교정책에서 냉전으로 상징되는 구조적 환경의 영향력은 기회와 제약을 동시에 부여하는 양날의 검으로 작용했다.



영문 초록
  The beginning of the 1980s was accompanied by some critical changes, which were the exacerbating security crisis with new cold war after deente in international politics and the advent of new military regime after two coups in domestic politics. In the period of crisis and changes, new military regime in Korea should stabilize the domestic politics and prove its legitimacy by developing visible performances in foreign relations because it had long suffered from lacking legitimacy raised by opposition parties and civil groups since the coups. To cope with these problems, new military regime set four kinds of policy priorities such as recovering ROK-US relationship and strengthening policy cooperation, taking advantage of Japan's political and economical capability, securing the dominant position over North Korea in diplomacy, and Participating in and holding international events. Under unstable circumstance in East asia due to new cold war, military regime in Korea could manage to introduce these policies in the first phase, and, by
doing so, pursue the stabilization of domestic politics while lessening criticism concerning its legitimacy.
  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ROK, DPRK, US, Japan, China, and Soviets who were keeping an close eye on security situations was shocked by two consecutive accidents, shoot-down of KAL 007 and Rangoon bombing, in the late 1983. Two tragedies had two meanings to the 5th republic in Korea. Firstly, it was the diplomatic challenges to deal with Soviets, the most powerful socialist power not establishing diplomatic relation, and Burma, one of the Third World close to North Korea. Secondly, the Korean peninsula was proved again that it was one of the most vulnerable region during the entire cold war era. Korean government wanted to settle down the crisis according to the foreign policy path that it had formed since accession to power. In briefly, by defining the accidents as terror against humanity, responding with non-military actions, cooperating with friendly nations, securing the support from international organizations, continuing 'Nordpolitik' through dividing the security and diplomacy, and using international law to impose sanctions on North Korea and Soviets, the Korean government tried to overcome the crisis.
  While the Korean government achieved a few satisfactory results in managing the urgent situation, its limits were also revealed. Nordpolitik as main diplomatic initiative of the 5th republic was delayed and, more importantly, it was clear that the capabilities of Korea were not fully developed to cover the controversial matters. The government’s limits resulted from the dominant influence of structural environments in new cold war era. It was true that controllable security unrest was conducive to get the political and economical assistance from the allied nations like US and Japan. On the contrary, in the extremely unstable moments, the diplomatic space and opportunity of Korean government were considerably decreased. The structural environments represented by cold war in east asia was the double-edged sword in Korea’s diplomacy that could give chance and constraint at the same time.






목차

Ⅰ. 서론
Ⅱ. 신냉전의 안보 환경 변화와 5공화국의 외교정책
1. 신냉전의 도래와 안보 환경의 변화
2. 5공화국 외교정책의 형성
Ⅲ. KAL기 격추와 아웅산 테러 사건
1. KAL기 격추와 아웅산 테러사건의 발단과 전개
2. 5공화국의 대응방향
3. 두 사건의 함의와 5공화국 대응의 평가
Ⅳ. 결론

논문사진

미리보기 다운받기

키워드 신냉전, 5공화국, 전두환, KAL기 격추사건, 아웅산 테러사건, 외교정책, New Cold War, 5th Republic in Korea, Chun Doo-hwan, KAL 007 Shoot-down, Rangoon Bombing, Foreign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