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동계올림픽은 2002년, 김대중 정부 때부터 유치를 추진하였는데 그 계획으로는 제1단계 평창 인지도 제고‧제2단계 유치경쟁력 제고‧제3단계 득표점검 및 득표활동 강화라는 단계적 전략을 포함하고 있으며, 세부전략으로는 범정부적 유치활동 지원은 물론 주요국 재외 공관 활용‧체육계 및 경제계의 지원‧각종 국제 체육행사를 최대한 활용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하지만 2003년 체코 프라하에서 열린 IOC 총회에서 평창은 2010 동계올림픽 개최지 선정 1차 투표에서 51표로 최다득표를 하고도 결선 투표에서 밴쿠버에 53대 56, 3표 차로 탈락하였다.
이에 노무현 정부인 2006년에는 유치위원회가 중심이 되고 정부, 국회, 한국올림픽위원회, 강원도 등이 적극 지원하는 범국가적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대통령 주재로 유치활동을 점검하며 최종결정까지 사회정책수석실에서 지속적으로 관리하였다. 2007년 과테말라에서 열린 IOC 총회에서 열린 2014년 동계올림픽 개최지 선정, 1차 투표에서 4년 전에 이어 또 다시 최다 득표를 하고도 결선 투표에서 47대 51, 4표 차로 소치에 개최권을 내줬다.
두 번의 실패를 교훈삼아 다시 준비한 이명박 정부는 2011년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열린 IOC 총회에서 총 95표 중 63표로 1차 과반을 획득하여 2018년 동계올림픽 유치에 성공하였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동계올림픽 유치에 성공함으로써 세계 4대 국제 이벤트인 올림픽(1988년 서울), FIFA월드컵(2002년), 세계육상선수권대회(2011년 대구)를 모두 개최하는 다섯 번째 국가(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로 스포츠사에 이름을 남겼다.
더보기
정부는 평창올림픽을 계기로 관광 산업 분야 민간 투자를 촉진하기 위하여 각종 관광 사업에 관광진흥개발기금을 투자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2015년까지 146조원을 투자하여 원주-강릉 복선전철 외에 인천공항철도 연계시설 확충, 국도 6호선·59호선, 광주-원주 민자 고속도로 건설 등 도로‧ 철도‧공항‧항만 등 교통망 구축에 집중 투자한다는 계획을 수립했다.
또한 올림픽이 개최되는 평창과 강릉, 정선 일원 27.4㎢(여의도 면적 9.5배)를 ‘평창올림픽 특구’로 지정했다. 특구 사업은 관광개발과 진흥, 올림픽 지원, 주거·도시경관, 교통·생활 인프라 부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년간 총 3조 3,064억 원을 투입하는 계획이었다. 특구의 지정 및 조성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는 20년간 지역 내 총생산 증가 10조 4,683억 원, 고용유발 효과 26만 4,390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평창 동계올림픽 유지 유치추진상황 보고’, ‘평창동계올림픽 철도노선 구축계획’등 이상의 동계올림픽 관련 대통령기록물들은 역대 대통령의 동계올림픽 유치에 대한 관심과 노력, 대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들을 자세하게 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