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비쥬얼

대한민국 역대 대통령을 만나다.

대한민국 역대 대통령을 만나다

역대 대통령의 ‘오늘’

03월 29일 더보기

대통령 ‘지시사항’

03월 더보기

자주찾는 정보

이기록 그순간

  • 대형산불

    봄철 대형산불은 1996년 고성산불, 2000년 동해안 산불, 2002년 청양·예산 산불, 2005년 양양산불(낙산사 피해), 2013년 포항·울주 산불, 2017년 강릉·삼척 산불 등 2000년 이후 빈번하게 발생했다. </p><br/> 1996년 4월 22일 발생한 고성산불은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에서 시작된 대형산불로 건물 226동, 가축 718두, 농기계 17,745대, 송이 16.2톤, 산림 3,762㏊가 피해를 입었다. 당시 정부는, 김영삼 대통령의 지시로 ‘산불방지종합대책’을 마련하여 산불 진화 및 피해 복구를 추진하였다. </p><br/> 2000년 동해안 산불은 4월 7일 동해안 일대에서 발생한 산불로 산림 23,794㏊(남산면적의 80배), 주택 390동 등 1,001억원의 피해가 발생했다. 정부는 해당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고 재해구호, 산림피해 복구 등을 지원했다. 또 2005년까지 1,310억원을 투입하여 조림, 사방사업 등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도 수립하였다. </p><br/> <script> $(document).ready(function(){ $("#btnMore").on("click",function(ev){ ev.preventDefault(); $("#hdiv").toggle(300);}); $("#hdiv").hide(); }); </script> <a class="button size2 color1 invert" id="btnMore" href="return false">더보기</a> <div id='hdiv'> <br/><Br/> <p > 동해안 대형산불 이후 정부는 초대형 헬기 도입(‘02), 산불전문예방진화대 운영(’03), 산불화상관제시스템 구축(‘10) 등 산불방지시스템의 선진화를 추진했다. 또한 산불위험예보시스템, 산불화상관제시스템, 산악기상관측망구측 등 ICT 기술을 활용한 산불예방·진화를 강화하였다. </p><br/> <p > 2005년 강원도 양양산불로 많은 피해가 발생하자 정부는 산불피해지역 특별재난지역 선포하고 특별위로금과 복구비용을 지원했다. 또한 노무현 대통령 지시로 유관기관 공조체제, 초대형 헬기 전진배치, 강풍 및 야간산불 진화를 위한 특수·전문진화대 확충 등 “대형 산불 예방·대응체계 개선방향”을 마련하였다. </p><br/> <p > 2022년에는 ‘K-산불방지 종합대책’을 수립하여 야간 산불과 인력진화가 어려운 지역에 ‘드론산불진화대’를 투입하고 ‘산림드론감시단’을 편성 하는 등 드론을 활용한 산불 대응체계를 강화하였다. </p><br/> <p > 이외 대형산불 진화에 유용한 산불진화용 헬기 확보와 매년 봄철 건조기에 자주 발생하는 비무장지대의 산불 발생 실태 및 대책을 보고서 문건 등 대형산불 관련한 다양한 내용을 볼 수 있다. </p><br/> <p class="last"> 봄철 건조기를 맞아 공개하는 대형 산불 관련 기록을 통해 산불예방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p><br/> </div>

  • 숭례문 화재와 복구

    2008년 2월 10일 발생한 숭례문 화재는 문화재 관리에서 미흡하게 다뤄졌던 문화재 방재에 전환점이 되었다. 이에 따라 2010년 2월 개정된 문화재보호법에 화재의 재난방지를 위한 시책 수립 규정과 ‘문화재 방재의 날’ 규정이 신설되었다. ‘문화재 방재의 날’은 숭례문 화재의 교훈을 되새긴다는 의미에서 숭례문 화재일인 2월 10일로 정하였고 2011년부터 해마다 기념하고 있다. </p><br/> 국가안전보장회의의 숭례문 화재발생 최초 상황보고 이후 관련 추진상황은 대통령에게 지속적으로 보고되었다. 정부는 목조문화재 143개소에 대해 안전점검을 실시하는 한편 긴급대응 소방훈련을 실시하고 목조문화재 「화재대응 표준매뉴얼」을 마련했다. 또한 중요 목조문화재에 대한 상주 감시를 위해 인력을 배치하고 산불피해방지를 위한 방화선도 구축했다. 또한 문화재보호법상 고의적 방화, 파괴 등 훼손범의 가중처벌 등 관련법령 개정도 추진하였다. </p><br/> 숭례문 화재 1주년에는 전국의 중요 목조문화재에 대한 화재 및 산불예방 안전점검을 추진했다. 문화재청, 소방방재청, 산림청, 한국가스공사, 한국전기안전공사가 합동으로 흥인지문(동대문) 등 중요 목조문화재 151건을 점검하고 화재예방 홍보물을 설치, 문화재시설물 무단침입대응 합동훈련, 목조문화재 합동소방훈련을 실시했다. </p><br/> <script> $(document).ready(function(){ $("#btnMore").on("click",function(ev){ ev.preventDefault(); $("#hdiv").toggle(300);}); $("#hdiv").hide(); }); </script> <a class="button size2 color1 invert" id="btnMore" href="return false">더보기</a> <div id='hdiv'> <br/><Br/> <p > 숭례문 화재에는 많은 국민들이 안타까운 심정을 전하면서 예방 및 복구 방안 등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전달했다. 남북공동기술력으로 복원하자, 숭례문 잔해를 폐기물로 버릴 것이 아니라 박물관에 소장하여 역사 교훈과 교육 자료로 삼자, 화재현장에서 나온 기왓장 등으로 숭례문 참사를 기릴수 있는 액자나 액세서리를 제작하여 판매 수익금을 숭례문 복원 비용으로 활용하자는 제안 등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p><br/> <p > 숭례문은 전통 방식의 단청 안료와 아교, 기와, 철물 등을 활용하여 옛 모습으로 복구되었다. 하지만 준공 이후 단청 부분에서 하자가 발견됨에 따라 분야별 전문가들로 구성된 ‘숭례문 종합점검단’을 구성하여 점검하기도 했다. </p><br/> <p > 숭례문 복구는 다양한 의견을 모아 2008년 2월부터 2013년 5월까지 약 5년 5개월에 걸쳐 245억 원을 투입하여 좌우 성곽복원, 방재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으로 추진되었다. 복구 1단계(’08.2∼’08.5.)는 화재수습, 부재 수습·정리, 숭례문 복구 기본계획 발표, 2단계(’08.6.∼’09.12.)는 발굴·고증 조사 및 설계, 3단계(’10.1.∼’13.6.)는 복구공사가 이뤄졌다. </p><br/> <p class="last"> 문화재 방재의 날을 맞아 공개하는 숭례문 화재와 복구 관련 기록을 통해 우리 문화재의 소중함을 되새기고 안전한 보존·전승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제고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p><br/> </div>

더보기

정책기록

더보기

소식배너

행정안전부 만19세 ~ 34세 청년이라면 누구나! 행정안전부 청년인턴 모집 접수기간 2023.3.29 ~ 4.3. 응시자격 마19세~34세 대학민국 청년
2022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순회전시 1919 1945 2022 환국 대한민국 임시정부 돌아오다 2022.11.23.-2023.06.30. 대통령기록관 기획전시실 RETURN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행정안전부 대통령기록관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
행정안전부 대통령기록관 대통령 기록 전시관 PRESIDENTIAL ARCHIVES 전시해설 프로그램 운영 전시해설 예약 바로가기
견학·체험 프로그램 행정안전부 대통령기록관 대통령기록문화체험 하러가자! 애들아~ 진로탐색! 진로체험! 어디까지 해봤니? 견학·체험 프로그램 GOGO
어린이 체험관 운영안내 효율적 이용을 위해 사전예약제로 운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