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차 한일정기각료회의 추진현황 보고 | |||||
분야 | 외교업무 > 각료회의 | 대통령 | 박정희 | 생산기관 | 대통령비서실 |
---|---|---|---|---|---|
관리번호 | 1A00614174951952 | 생산일자 | 1973.11.17 | ||
키워드 | 외교업무, 일본 원문보기 | ||||
[본문 요약 및 해제]
1. 개요 - 7차 한일 정기 각료회의를 준비함. 의제는 실무자급에서 준비하고 합의된 의제만 각료회의에 제출함. 74년부터는 실무회의도 공식화하여 운영함
2. 회의 준비 - 11월 20일부터 각 부처 실무자급으로 실무 설명단 구성 일본 방문 - 경제기획원 운영차관보가 총괄적 실무교섭 (1차 2차) - 각료 회의일정은 12월 20일부터 일주일 (일본 동경)
3. 의제안 - 경제협력 3억 2800만 불 - 새마을사업(김제, 창녕, 금강 유역 개발)에 1억 불, 제철소 확장 1억 3500만 불, 선박차관 5천만 불 등 - 서울공대 시설지원 1천5백만 불 무상 - 통상관계 불균형 시정 (대통령 메모 “이 문제 더 이상 거론하지 말 것”) - 석유화학 제품, 화섬원료의 안정적 공급 - 새마을 농촌지도자 연간 100명 연수 - 해운협정 (일본이 조기 체결을 요청할 경우 선박차관 5천만 불을 추가 요청함)
[문서의 역사적 의미]
- 실제로는 새마을 자금 4천5백만 불, 포항제철 확장비 4천 5백만 불 등을 얻는 데 그침. - 일본은 중화학 부문 지원을 민간으로 돌리고 농업에만 지원 중점을 두어, 일본 경제계의 입장을 반영함. - 가령 선박차관이 불발된 대신, 회담이 열리던 기간 중에 삼성물산과 일본 석천도파마 중공업이 합작으로 거제도에 백만톤급의 조선소를 건설키로 합의했다고, 일본 경제신문(22일)과 한국 매일경제(24일) 등에 보도. - 언론은 애초에 기대한 만큼의 협력을 얻어내지 못했으나 정치적 관계를 회복하는 성과가 있다고 평가
[참고자료]
관련기사 : 삼성 ․ 일 석천도 합작 백만톤급 조선소 건설 (매일경제/1973.12.24./4면)
관련기사 : 한 ․ 일 각료회담의 성과 (경향신문/1973.12.27./2면) |
동영상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