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팍 각료회의 공동성명서 비교
아스팍 각료회의 공동성명서 비교
분야 외교업무 > 각료회의 대통령 박정희 생산기관 대통령비서실
관리번호 1A00614174955557 생산일자 1969.06.13
키워드 국제현안, 외국회의, 아스팍(ASPAC) 각료회의, 공동성명서 원문보기

 

[본문 요약 및 해제]

1, 3, 4차의 아스팍 각료회의 공동성명서 비교

1차 공동성명서

3차 공동성명서

4차 공동성명서

중공사태 :

아스팍지역에서의 핵실험을 개탄

중공의 정세가 불확실하며, 계속 주시해야 함

중공의 장래 사태 발전을 면밀히 감시해야 함

2. 월남 문제 :

평화적 해결을 위한 시도가 거부되고 있음을 개탄

파리 회담 주목, 전후 부흥을 돕기 위한 공동 노력의 필요성 인정

월남정부의 노력 치하, 영구적인 평화보장을 위한 국제협력체제로의 발전 필요성 인정

3. 한국문제 :

한국문제에 관한 유엔의 목적 강력 지지

증가된 무장공비에 대한 관심 표명, 급속한 발전을 위한 노력에 만족

도발 및 침략행위로 야기되는 긴장사태에 우려 표명, 국가태세 강화를 위한 노력 찬양

4. 회원국 상호간의 협력문제 :

평화, 자유, 번영의 보존과 주권유지를 위한 상호간의 결속과 협력 강화

유엔헌장의 목적과 원칙지지 및 평화와 안전을 위한 지역적 제조치의 가치 인정

각 국가들이 이 지역 발전과 안전을 도모할 수 있을 때까지 주요 국가들의 계속 지원이 필요

5. 경제협력

개발도상국가의 경제적 사회적 발전을 돕기 위한 제조치가 지속되어야 함

아스팍지역의 무역증진의 필요성 주목

6. 아스팍의 성격 :

아스팍지역의 결속 강화 및 다른 국가의 참가 적극 권장

아스팍은 배타적 기구가 아니며, 개방적인 기구임

아스팍의 모든 사업이 동의를 조건으로 비가맹국에도 개방되어 있음


[문서의 역사적 의미]

중공사태, 월남문제, 한국문제, 회원국 협력문제, 경제협력, 아스팍의 성격에 대한 1, 3, 4차 아스팍 각료회의 공동성명서를 비교한 문서로서 월남문제 해결의 변화과정, 한국문제에 있어서 북한에 대한 비판의 강도가 세지고 있는 등 시간의 변화와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음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의견이 있으시면 내용입력 후 제출하기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