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동맹 70주년 기념 특별전 '이승만 대통령 서한문으로 살펴보는 한미동맹의 시작'
이승만 대통령 서한문으로 살펴보는 한미동맹의 시작
전시기간2023.9.20. ~ 2024.5.31.
대통령기록관은 한미동맹 70주년을 기념하여 이 동맹의 시발점인 한미상호방위조약의 체결과정과 그 역사적 의미가 담긴 <이승만 대통령 외교서한문>의 복원을 마쳤습니다. 이에 한미동맹 70주년의 의미를 되새기고, 확산시킴으로써 한미 관계가 미래를 향해 계속 전진할 수 있도록 특별전시를 마련하였습니다.
<이승만 대통령 외교서한문>은 역사적으로 1950년대 한미관계사뿐만 아니라 한국현대사를 이해하는 핵심자료입니다. 또한 초고부터 수정본, 최종본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1950년대 양국 정상의 의사결정과정을 상세히 확인할 수 있다는 데 큰 의미가 있습니다.
1부 <이승만 대통령 서한문으로 살펴보는 한미동맹의 시작>
‘이승만 대통령 외교서한문’은 1950년대 정전협정 체결과 북진통일론, 반공포로 석방,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등에 대한 한미 간의 입장과 일련의 협상과정을 담고 있습니다. 국가적 위기 상황 속에서 한미동맹을 체결하여 한반도의 안전과 경제재건 등의 토대를 마련한 이승만 대통령의 불굴의 애국충정을 서한문으로 살펴볼 수 있습니다.
2부 <역대 대통령선물로 살펴보는 한미 간의 우호>
국가 정상 간 만남에서 선물을 건네는 것은 예의의 표현이며, 평화를 염원하고 있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2023년 한미동맹 70주년을 기념하여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이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등을 통해 받은 뜻깊은 선물을 통해 한미동맹 강화를 위한 양국의 노력과 역대 대통령들 간의 우호를 되새겨 보고자 합니다.
3부 <서한문의 복원>
이승만 대통령의 외교서한문을 복원하는 과정과 복원 전후를 비교하는 사례를 영상과 사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부 <이승만 대통령 서한문으로 살펴보는 한미동맹의 시작>
‘이승만 대통령 외교서한문’은 1950년대 정전협정 체결과 북진통일론, 반공포로 석방,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등에 대한 한미 간의 입장과 일련의 협상과정을 담고 있습니다. 국가적 위기 상황 속에서 한미동맹을 체결하여 한반도의 안전과 경제재건 등의 토대를 마련한 이승만 대통령의 불굴의 애국충정을 서한문으로 살펴볼 수 있습니다.
2부 <역대 대통령선물로 살펴보는 한미 간의 우호>
국가 정상 간 만남에서 선물을 건네는 것은 예의의 표현이며, 평화를 염원하고 있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2023년 한미동맹 70주년을 기념하여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이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등을 통해 받은 뜻깊은 선물을 통해 한미동맹 강화를 위한 양국의 노력과 역대 대통령들 간의 우호를 되새겨 보고자 합니다.
3부 <서한문의 복원>
이승만 대통령의 외교서한문을 복원하는 과정과 복원 전후를 비교하는 사례를 영상과 사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동영상 자막
이승만 대통령 서한문으로 살펴보는 한미동맹의 시작
[해방, 정부수립 그리고 6.25전쟁]
- 기록물 : 해방(1945.8.15.)
- 기록물 : 대한민국 정부 수립 국민 축하식(1948.8.15.)
1945년 8월 15일 해방과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하지만, 국제적 냉전체제의 심화 속에서 북한의 남침으로 6.25전쟁 발발
- 기록물 : 대한민국 정부 수립 국민 축하식에 참석한 맥아더 사령관을 환영하는 이승만 대통령(1945.8.15.)
- 기록물 : 북한군의 38선 철수를 요구하는 유엔안전보장이사회(1945.6.26.)
- 기록물 : 인천상륙작전을 지휘하는 맥아더 유엔군사령관(1950.9.15.)
[정전협정 체결과정]
1951년 봄부터 전선은 한반도 중간지대에서 교착상태에 빠졌고, 정전 논의 시작
- 기록물 : 정전설에 관한 중대 성명 – 더 무서운 전쟁의 서곡이 될 어떠한 평화제안도 수락치 않는다.(1951.6.27.)
이승만 대통령은 “조속한 평화라는 허황된 약속에 속아 더 무서운 전쟁이 되어버릴 어떤 평화 제안에도 수락하지 않는다”라는 대통령 성명과 함께 정전논의 반대
- 기록물 : 이승만 대통령의 정전 관련 기자회견(1953.4.29.)
- 기록물 : 이승만 대통령이 아이젠하워 대통령에게 무력통일을 제안하며 미군의 철군까지 감수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낸 서한(1953.4.9.)
정전 후 미국이 한국을 전략적 지역에서 제외할지 모른다는 우려 속에서 이승만 대통령의 정전 반대 입장은 한층 더 강경
- 기록물 : 이승만 대통령의 정전협정 반대 주장을 우려하는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서한(1953.4.25.)
[이승만 대통령과 미국의 담판, 그리고 정전협정 체결]
이승만 대통령은 우리나라의 국가안보와 경제재건 등을 위해 정전협상 반대‧반공포로 석방 등을 승부수로 내걸고, 미국의 아이젠하워 대통령과 외교적 긴장 관계를 유지하면서 끈질기게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요구
- 기록물 : 이승만 대통령이 아이젠하워 대통령에게 보낸 상호방위조약 관련 서한(1953.5.30.)
- 기록물 : 반공포로수용소(1952.7.9.)
- 기록물 : 반공한인포로 석방에 대한 이승만 대통령의 담화문(1953.6.18.)
- 기록물 : 이승만 대통령이 아이젠하워 대통령에게 보낸 로버트슨 차관보의 이한(離韓)과 미국의 아시아 정책에서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한 서한(1953.7.11.)
- 기록물 : 한미 정부 간에 일어난 오해를 풀고 서로의 신뢰를 확인하며 이승만 대통령이 델레스 국무장관에게 보낸 답신(1953.7.26.)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 체결
- 기록물 : 정전협정에 서명하는 유엔 측과 공산 측 대표(1953.7.27.)
- 기록물 : 정전협정문(1953.7.27.)
- 기록물 : 정전조인에 관한 이승만 대통령의 담화문(1953.7.27.)
[우리나라 최초이자 유일한 외국과의 군사동맹, 한미동맹 결성]
마침내 1953년 8월 8일 서울에서 한미상호방위조약 가조인하고, 1953년 10월 1일에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 기록물 : 한미상호방위조약에 가조인하는 한미대표(1953.8.8.)
- 기록물 : 한미상호방위조약 가조인 후 덜레스 미국 국무장관과 환담하는 이승만 대통령(1953.8.8.)
- 기록물 : 한미상호방위조약 가조인 후 전국민에게 보내는 이승만 대통령의 담화문(1953.8.9.)
- 기록물 : 한미상호방위조약문(1953.10.1.)
1954년 7월 이승만 대통령과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정상회담을 통해 한미합의의사록이 정식 조인되고, 비로소 동맹 조약의 법적 효력이 발생
- 기록물 : 미국을 국빈 방문한 이승만 대통령을 백악관에서 환영하는 아이젠하워 대통령(1954.7.26.)
- 기록물 : 미국 의회 상하원 합동 연선로 미국의 심장에 ‘자유를 향한 불굴의 투쟁’을 새긴 이승만 대통령(1954.7.28.)
- 기록물 : 이승만 대통령 뉴욕에서 카퍼레이드(1954.8.4.)
이승만 대통령은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은 “우리나라 독립 역사상 가장 긴중한 진전이다. (중략) 한미상호방위조약이 성립된 것은 그 영향이 자손만대에 영구히 미칠 것이니”라고 발표하며, “한미동맹은 국가안보뿐만 아니라 한국의 경제발전 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을 예견
이승만 대통령 서한문으로 살펴보는 한미동맹의 시작
[해방, 정부수립 그리고 6.25전쟁]
- 기록물 : 해방(1945.8.15.)
- 기록물 : 대한민국 정부 수립 국민 축하식(1948.8.15.)
1945년 8월 15일 해방과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하지만, 국제적 냉전체제의 심화 속에서 북한의 남침으로 6.25전쟁 발발
- 기록물 : 대한민국 정부 수립 국민 축하식에 참석한 맥아더 사령관을 환영하는 이승만 대통령(1945.8.15.)
- 기록물 : 북한군의 38선 철수를 요구하는 유엔안전보장이사회(1945.6.26.)
- 기록물 : 인천상륙작전을 지휘하는 맥아더 유엔군사령관(1950.9.15.)
[정전협정 체결과정]
1951년 봄부터 전선은 한반도 중간지대에서 교착상태에 빠졌고, 정전 논의 시작
- 기록물 : 정전설에 관한 중대 성명 – 더 무서운 전쟁의 서곡이 될 어떠한 평화제안도 수락치 않는다.(1951.6.27.)
이승만 대통령은 “조속한 평화라는 허황된 약속에 속아 더 무서운 전쟁이 되어버릴 어떤 평화 제안에도 수락하지 않는다”라는 대통령 성명과 함께 정전논의 반대
- 기록물 : 이승만 대통령의 정전 관련 기자회견(1953.4.29.)
- 기록물 : 이승만 대통령이 아이젠하워 대통령에게 무력통일을 제안하며 미군의 철군까지 감수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낸 서한(1953.4.9.)
정전 후 미국이 한국을 전략적 지역에서 제외할지 모른다는 우려 속에서 이승만 대통령의 정전 반대 입장은 한층 더 강경
- 기록물 : 이승만 대통령의 정전협정 반대 주장을 우려하는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서한(1953.4.25.)
[이승만 대통령과 미국의 담판, 그리고 정전협정 체결]
이승만 대통령은 우리나라의 국가안보와 경제재건 등을 위해 정전협상 반대‧반공포로 석방 등을 승부수로 내걸고, 미국의 아이젠하워 대통령과 외교적 긴장 관계를 유지하면서 끈질기게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요구
- 기록물 : 이승만 대통령이 아이젠하워 대통령에게 보낸 상호방위조약 관련 서한(1953.5.30.)
- 기록물 : 반공포로수용소(1952.7.9.)
- 기록물 : 반공한인포로 석방에 대한 이승만 대통령의 담화문(1953.6.18.)
- 기록물 : 이승만 대통령이 아이젠하워 대통령에게 보낸 로버트슨 차관보의 이한(離韓)과 미국의 아시아 정책에서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한 서한(1953.7.11.)
- 기록물 : 한미 정부 간에 일어난 오해를 풀고 서로의 신뢰를 확인하며 이승만 대통령이 델레스 국무장관에게 보낸 답신(1953.7.26.)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 체결
- 기록물 : 정전협정에 서명하는 유엔 측과 공산 측 대표(1953.7.27.)
- 기록물 : 정전협정문(1953.7.27.)
- 기록물 : 정전조인에 관한 이승만 대통령의 담화문(1953.7.27.)
[우리나라 최초이자 유일한 외국과의 군사동맹, 한미동맹 결성]
마침내 1953년 8월 8일 서울에서 한미상호방위조약 가조인하고, 1953년 10월 1일에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 기록물 : 한미상호방위조약에 가조인하는 한미대표(1953.8.8.)
- 기록물 : 한미상호방위조약 가조인 후 덜레스 미국 국무장관과 환담하는 이승만 대통령(1953.8.8.)
- 기록물 : 한미상호방위조약 가조인 후 전국민에게 보내는 이승만 대통령의 담화문(1953.8.9.)
- 기록물 : 한미상호방위조약문(1953.10.1.)
1954년 7월 이승만 대통령과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정상회담을 통해 한미합의의사록이 정식 조인되고, 비로소 동맹 조약의 법적 효력이 발생
- 기록물 : 미국을 국빈 방문한 이승만 대통령을 백악관에서 환영하는 아이젠하워 대통령(1954.7.26.)
- 기록물 : 미국 의회 상하원 합동 연선로 미국의 심장에 ‘자유를 향한 불굴의 투쟁’을 새긴 이승만 대통령(1954.7.28.)
- 기록물 : 이승만 대통령 뉴욕에서 카퍼레이드(1954.8.4.)
이승만 대통령은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은 “우리나라 독립 역사상 가장 긴중한 진전이다. (중략) 한미상호방위조약이 성립된 것은 그 영향이 자손만대에 영구히 미칠 것이니”라고 발표하며, “한미동맹은 국가안보뿐만 아니라 한국의 경제발전 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을 예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