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CURK사무소
UNCURK사무소
분야 국제기구 > 국제연합 대통령 박정희 생산기관 대통령비서실
관리번호 1A00614174951282 생산일자 1966.05.05
키워드 국제기구, 유엔(UN), UNCURK, 화재, 외교연구원 원문보기

 

[본문 요약 및 해제]

1. UNCURK 사무소 설치

- 화재로 소실된 UNCURK 사무소를 재설치

- 외교연구원을 UNCURK 사무소로 사용함

- 외교연구원장은 4. 7. 12:00에 동 건물을 UNCURK에 인계하고 동 원은 중앙공무원 교육원 내로 이전할 것

- 도서실, 어학실험실 등은 폐쇄할 것

- 총무처장관은 관계부처와 함께 협조해 사무소 구조물의 수리 복구를 착수하고 6. 30까지 완료할 것


[문서의 역사적 의미]

- 195012월 국제연합 총회의 결의로, 한국전쟁으로 파괴된 한국의 구호와 경제부흥을 위해 설치된 국제연합 한국재건단(United Nations Korea Reconstruction Agency, UNKRA)과 긴밀한 연관 아래 활동함

- 유엔 한국통일부흥위원회는 1968년까지 유엔 총회에 한국의 정치, 경제, 군사 등 중요한 문제에 관한 연례보고서를 제출함으로써 남북 문제를 차기총회의 의제에 자동으로 포함시켜 매년 토의하게 하였다. 그러나 연례적인 한국문제 토의가 남북한 간의 긴장을 고조시킨다는 의견에 따라 1968년 이후부터 연례보고서는 총회 대신 사무총장에게 제출하게 되었다. 이로써 남북한문제가 총회에 자동 상정되는 것을 피할 수 있었다.

- 유엔 한국통일부흥위원회 해체결의안은 1968년부터 매년 공산권 국가에 의해 제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주 대표단을 중심으로 꾸준히 조사보고서가 작성되었다. 1971년에는 UN에서의 중국 대표권을 획득한 중공(중화인민공화국)이 유엔 한국통일부흥위원회의 해체 및 주한 유엔군의 철수를 요구하기도 하였다. 그러다가 19727·4남북공동성명 발표 등 남북대화가 시작됨에 따라 19731228일 제28차 유엔 총회에서 만장일치로 해체가 결의되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의견이 있으시면 내용입력 후 제출하기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