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회 민.관 확대 콘텐츠 정책협의회 개최 결과 보고
제1회 민.관 확대 콘텐츠 정책협의회 개최 결과 보고
분야 대통령 노무현 생산기관 대통령비서실
관리번호 1010068100003212 생산일자 2006.07.18
키워드 차세대 성장동력 사업, 콘텐츠, 부처 간 조정 원문보기
기록철명
기록철번호 입수유형
이관일 생산시스템
기록형태 기록유형
우리나라가 보유한 세계적 수준의 IT 인프라 및 서비스를 토대로 문화적 우수성을 담은 콘텐츠를 발전,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참여정부는 ´03.8월부터 10대 차세대 신성장동력사업 중 하나로 디지털콘텐츠 기술을 정통부 중심으로 범부처적 개발에 착수하였으며, ´04.1월 대통령 지시에 따라 10대 신성장동력사업 중 ‘디지털콘텐츠’ 분야에 ‘문화·관광산업’로 ‘문화콘텐츠 기술(CT, Culture Technology)’를 포함함. 같은 해 10월 문화부는 ‘문화콘텐츠’를, 정통부는 ‘디지털콘텐츠 기술’을 분담하는 협력 MOU를 체결하였으나, ´05.6월 문화부에서 ‘CT 비전 및 중장기 전략’을 발표하며 ‘콘텐츠식별체계’를 포함하여 갈등이 발생하는 등 부처 간 협조가 미흡하여 효율적인 조율 필요성이 상존함. 이에 정보과기보좌관실은 추진 중인 ‘디지털콘텐츠 기술개발’의 추진 현황과 법제도적인 틀을 점검하며, 이를 ‘문화콘텐츠 기술’의 발전과 연계하는 정책방향 및 추진체계를 모색함으로써 미래 블루오션 영역인 콘텐츠 분야의 국가적 경쟁력을 조기에 확보하고자 함. 특히 민간전문가가 참여하는 검토작업반(TFT)을 구성, 콘텐츠 업체 등 현장의 의견에 기초하여 5대 부문(기술개발여건강화, 기술이전활성화, 기술인력육성강화, 콘텐츠활성화지원체제강화, 부처간공조활성화)의 저해요인을 도출하고, 총 10개의 향후 정책방향을 제시함.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의견이 있으시면 내용입력 후 제출하기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