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에너지산업 발전전략 개요 (VIP 보고)
그린에너지산업 발전전략 개요 (VIP 보고)
분야 대통령 이명박 생산기관 대통령실
관리번호 1011182100000960 생산일자 2008.12.30
키워드 그린에너지 산업, 녹색성장, 친환경정책, 에너지 절약, 신재생에너지, 신재생 산업 원문보기
기록철명 신재생에너지 산업육성
기록철번호 1011182000000011 입수유형 이관
이관일 2013.02.13 생산시스템 업무관리시스템
기록형태 기록유형 업무관리시스템일지
금번 그린에너지산업 발전전략의 의의에서는 8.15 경축사에서 대통령께서 밝힌 녹색성장을 구현을 위한 첫 번째 전략으로 관계부처가 공동 참여하여 그린에너지 산업 발전전략을 수립하였으며, 그린에너지 산업을 성장동력화하기 위한 기술개발, 시장창출, 보급확대 등 구체적 실행목표와 계획을 마련하였다고 보고하고 있다. 그린에너지산업의 개념 및 현황에서는 그린에너지 산업이란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신재생에너지, 기존 화석연료의 청정화, LED 조명 등 에너지 효율 향상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최근 신시장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거대 시장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정리하고 있다. 또한 신시장의 창출뿐만 아니라 他 산업의 그린화와 사회·문화적 변화로 이어지는 폭포효과(Cascade Effect)를 유발할 수도 있다고 평가하였다. 국제동향 및 우리의 현주소에서는 미국, 일본, EU 등 선진각국은 정부를 중심으로 전략기술을 선정하고 집중투자하여 그린에너지 산업육성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반면, 우리는 전세계 시장점유율 1.4%, 선진국 대비 기술수준 50~85% 등 아직까지 초기 단계라고 지적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반도체(태양광 유사공정)등 세계 최고의 IT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IT 기술 접목과 거대 내수시장(세계 10위의 에너지소비국)을 토대로 단기간 내 그린에너지 산업육성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그린에너지산업 발전전략의 주요내용에서는 1) 9대 전략기술 분야 선택 – 태양광, 풍력, LED, 전력 IT(1그룹), 수소연료전지, 청정연료, IGCC, CCS, 에너지저장(2그룹), 2) 시장지향형 기술개발로 글로벌 기술력 확보, 3) 시장창출을 통한 산업화와 보급 촉진 4) 성장동력화 지원을 위한 인프라 구축을 제시하였다. 향후 조치계획에서는 동 발전전략을 차질없이 추진하기 위해 범정부차원의 ‘그린에너지 정책협의회’를 발족하고 추진상황을 상시점검하며,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등 제도를 정비하고 예산확보를 차질 없이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의견이 있으시면 내용입력 후 제출하기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