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통령님 UAE왕세자 통화 참고 자료 작성 | |||||
| 분야 | 대통령 | 이명박 | 생산기관 | 대통령실 | |
|---|---|---|---|---|---|
| 관리번호 | 1011182100001246 | 생산일자 | 2010.06.22 | ||
| 키워드 | UAE, 중동건설사업, 천연가스 원문보기 | ||||
| 기록철명 | 에너지 해외도입 관리 및 수출산업화 | ||||
| 기록철번호 | 1011182000000016 | 입수유형 | 이관 | ||
| 이관일 | 2013.02.13 | 생산시스템 | 업무관리시스템 | ||
| 기록형태 | 기록유형 | 업무관리시스템일지 | |||
| 투르크 협력에서는 한국의 대우건설과 UAE가 공동으로 추진 중인 투르크메니스탄 항만 건설사업과 아무다리아강 교량건설 사업 등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는 내용이다. 가스 선박에서는 왕세자가 언급한 바 있는 “가스 선박”관련 사업에 대해 투르크 측으로부터 제안을 받은 바 있으나, 대우건설 등 국내기업을 통해 확인한 결과 사업타당성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는 입장으로 정리하고 있다. 또한 천연가스를 CNG 형태로 압축하여 카스피해상을 통해 운송하기 위해서는 운반선 건조를 위한 조선소 건설이 필요하나, 지정학적·경제적 조건 등으로 사업추진이 곤란하다는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리비아 협력에서는 왕세자께서 관심을 표명한 리비아 지역에는 많은 한국 기업들이 진출해 있어 UAE측과의 공동 협력이 유망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플랜트 및 건설 분야에서 우수한 시공력을 보유한 다수의 한국 기업들이 리비아에서 사업을 추진 중이므로 이들 한국기업과 협력을 기대한다고 밝히고 있다. UAE 철도 프로젝트 참여에서는 최근 우리 정부 관계자들이 알수와이디 경제개발부 장관 겸 연방철도공사회장, 오타이바 교통부 장관 등 UAE 관계자들을 면담하고 UAE철도망 성공을 위한 한국정부의 생각을 전달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금번 우리 대표단이 UAE 방문시 제안한 바 있는 사업비를 절감할 수 있는 철도망 건설계획, 아부다비 공항과 두바이 공항을 고속철도로 30분 이내에 연결하는 방안, 역세권 개발방안 등에 대해 적극적인 검토를 희망한다고 정리하고 있다. 맺음말씀에서는 한국과의 협력에 대한 왕세자의 깊은 관심에 다시 한 번 감사드리며 가까운 시일 내에 다시 뵙기를 기대한다고 언급하며 마무리하고 있다. 참고자료에서는 대우건설-UAE 투르크메니스탄 협력사업, 투르크메니스탄 협력사업 현황, 투르크메니스탄 CNG 사업 검토, 한국 기업 리비아 플랜트 및 건설사업 현황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
동영상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