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 원전개발 추진현황과 향후 계획 | |||||
| 분야 | 에너지·자원 > 자원산업정책 | 대통령 | 이명박 | 생산기관 | 대통령실 |
|---|---|---|---|---|---|
| 관리번호 | 1011182100001258 | 생산일자 | 2011.01.03 | ||
| 키워드 | 스마트(SMART) 원전, 원자력연구원, 표준설계인가 원문보기 | ||||
| 기록철명 | 에너지 해외도입 관리 및 수출산업화 | ||||
| 기록철번호 | 1011182000000016 | 입수유형 | 이관 | ||
| 이관일 | 2013.02.13 | 생산시스템 | 업무관리시스템 | ||
| 기록형태 | 기록유형 | 업무관리시스템메모 | |||
| 개요는 보고제목, 보고자, 보고안건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고제목은 스마트(SMART) 원전 개발 추진현황과 향후 계획으로 보고자는 미래전략기획관이다. 보고안건에서는 교과부와 원자력연구원가 ‘97년부터 시작한 스마트 원전 표준설계를 마무리하고 2010년 12월 30일 표준설계인가(standard design approval)를 신청하였음을 보고하고 있다. 원자력 연구원은 안전성·기술적 문제점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표준설계인가를 당초계획보다 1년 앞당겨 올해 말까지 마무리할 계획을 밝혔고, 실증로 건설의 필수 요건인 표준설계인가를 조속히 마무리하기 위해 정부·민간 공동으로 총 1,700억 원을’ 09년부터 올해 말까지 추가적으로 투자하겠다는 내용을 보고하고 있다. 인가가 올해 말까지 마무리되는 대로 해외수출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한 실증원자로 건설을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으로 실증원자력 건설 TF(한전·원자력硏·한전기술 등)운영을 통해 부지·건설경제성·수용성 확보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또한, 향후 개발의 최종 마무리 단계인 설계인가가 연말까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예상되는 기술적 문제점을 보완할 계획이라고 보고하고 있다. 지원체계는 총리실이 운용 중인 「SMART 정부지원협의회」를 중심으로 교과부·지경부 등 실무 부처가 진행상황을 상시 점검하고 실증로 건설은 건설 경제성 향상과 부지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정리하고 있다. 참고자료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미래전략실에서 작성한 스마트(SMART) 원전 개발 추진현황과 향후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 |||||
동영상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