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요르단 정상회담 자료 | |||||
| 분야 | 대통령 | 이명박 | 생산기관 | 대통령실 | |
|---|---|---|---|---|---|
| 관리번호 | 1011182100001264 | 생산일자 | 2008.12.30 | ||
| 키워드 | 요르단, 세계관광기구(WTO), 원자력에너지 원문보기 | ||||
| 기록철명 | 에너지 해외도입 관리 및 수출산업화 | ||||
| 기록철번호 | 1011182000000016 | 입수유형 | 이관 | ||
| 이관일 | 2013.02.13 | 생산시스템 | 업무관리시스템 | ||
| 기록형태 | 기록유형 | 업무관리시스템일지 | |||
| 한·요르단 정상회담 자료(요약)은 모두말씀, 양자관계, 지역정세로 구성되어 있다. 모두말씀에서는 요르단의 네 번째 방한을 환영하며, 1972년 7월 수교 이후 양국관계 발전에 만족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양자관계에서는 요르단 측 관심사항으로 원자력 협력, 홍해-사해간 대수로 사업 협력, 담수 플랜트 수주 지원, 교역 및 투자확대, 對요르단 개발협력(ODA), 문화·체육·관광, 주한상주대사관 설치, 세계관광기구 사무총장 입후보로 정리하고 있다. 우리 측 관심사항은 우리기업의 요르단 SOC 수주 지원, 방산협력, 한-아랍 소사이어티 협력으로 정리하고 있다. 지역정세에서는 한반도 정세와 중동정세로 나누어 보고하고 있다. 한반도 정세에서는 북한핵문제에 대하여 우리 정부는 6자회담 참가국 및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공조를 통해 북한의 핵 포기노력 경주 중이라는 입장을 정리하였다. 또한 남북관계에 대하여 국제사회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북한의 개혁․개방을 위해 노력하고 남북 간 진정성 있는 대화 추구하는 한편, 우리 정부는「실용과 생산성」에 기초하여 정상적이고 성숙한 남북관계 발전 지향한다는 입장을 정리하였다. 중동정세는 중동 평화정착 및 이라크 정세 안정을 위한 요르단의 건설적 기여를 평가하고,이-팔간 평화협상 당사자들이 평화협상에 보다 적극적으로 임할 수 있는 정치적 여건 마련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우리는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창설 목표를 지지하며, 팔레스타인의 국가건설과 경제개발에 기여할 예정이라고 정리하였다. 한·요르단 정상회담 말씀자료는 앞선 자료에서 정리된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한 말씀자료이다. | |||||
동영상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