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회 무역투자진흥회의 및 부품소재 전시회 개최
제3회 무역투자진흥회의 및 부품소재 전시회 개최
분야 통상·무역 > 통상·무역정책 대통령 이명박 생산기관 대통령실
관리번호 1011182100001582 생산일자 2009.04.26
키워드 무역투자진흥회의, 일본, 중국 원문보기
기록철명 무역수지 관리
기록철번호 1011182000000026 입수유형 이관
이관일 2013.02.13 생산시스템 업무관리시스템
기록형태 기록유형 업무관리시스템일지
경제위기 극복과 수출동력 확충을 위한 수출 진흥 대책은 대내외 수출여건 진단, 최근 수출입동향 및 전망, 2009년 수출 진흥 대책, 새로운 수출동력 발굴·육성, 이행상황 점검 및 실천계획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내외 수출여건 진단에서는 세계무역환경의 변화, 우리의 현 수출여건을 진단하였다. 최근 수출입동향 및 전망에서는 최근 수출입 동향에 대하여 대부분의 수출 주력업종에 어려움이 있지만 세계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는 추세라고 평가하였다. 또한 2009년 수출입을 재전망하고, 新무역정책 목표를 설정하였다. 2009년 수출 진흥 대책은 수출금융 애로해소, 해외마케팅 지원, 무역부대비용 절감, 보호무역주의 대응, 정책홍보로 정리하고 있다. 새로운 수출동력 발굴·육성은 녹색성장산업(신재생에너지·LED·원전) 수출 동력화, IT서비스·콘텐츠 시장 개척, 의료산업 수출 활성화, 우리 농식품의 세계화, 해외신도시 개발사업 진출 활성화로 구분하고 있다. 이행상황 점검 및 실천계획에서는 이행상황 점검계획을 밝히고 제3회 무역투자진흥회의 과제 실천계획(Action Plan)을 제시하였다.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업계의 수출확대 전략은 경제위기 극복의 핵심 : 수출, 중국 내수시장 진출, 대일 무역역조 개선기반 마련, 최근 무역현장 애로 해소, 세계 경제위기 이후를 대비하며로 구성되어 있다. 경제위기 극복의 핵심 : 수출에서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제성장 악화를 경제성장 버팀목인 수출감소에 기인한다고 제시하면서 90년대말 외환위기보다 수출여건이 악화되었다고 평가하였고 중국, 일본에 대한 수출 돌파구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중국 내수시장 진출에서는 중국 내수시장 진출 성공사례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추진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대일 무역역조 개선기반 마련에서는 일본진출 성공사례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추진전략을 마련하였다. 최근 무역현장 애로 해소에서는 무역애로 현황 및 해소방향과 애로유형별 해소방안을 제시하였다. 세계 경제위기 이후를 대비하며에서는 수출의 환율효과의 장기지속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환율착시 현상에 안주하지 말고 고환율 이후 대비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신성장사업의 조기수출화를 위한 투자 및 R&D 강화, 수입대체를 위한 국산화 진력을 바탕으로 수입증가 대비에 따른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의견이 있으시면 내용입력 후 제출하기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