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무역통계 참고자료
주요무역통계 참고자료
분야 대통령 이명박 생산기관 대통령실
관리번호 1011182100001598 생산일자 2011.02.10
키워드 무역, 통계, 수출·입 원문보기
기록철명 무역수지 관리
기록철번호 1011182000000026 입수유형 이관
이관일 2013.02.13 생산시스템 업무관리시스템
기록형태 기록유형 업무관리시스템메모
연도별 수출입 실적에서는 1950년부터 2000년까지 10년 단위로 수출금액과 증가율, 수입금액과 증가율, 무역수지를 정리하고 있다. 2005년부터는 1년 단위로 수출입 통계를 정리하였으며, 수출입 실적과 무역수지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상승세는 2006년~2007년 둔화를 보이다 2008년에 접어들며 다시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지역별 수출입 비중 추이에서는 2006년부터 2010년까지 미국, 중국, 일본, EU, ASEAN, 중동, 중남미, 기타에 대한 수출, 수입 비중에 대한 추이를 정리하고 있다. 미국은 수출입 모두 하락세를 보였다. 중국은 수출입 모두 상승세를 보였다. 일본은 수출입 모두 하락, EU는 수출은 하락, 수입은 증가하다 하락세를 보였다. ASEAN은 수출입 모두 상승세를 보였다. 중동은 수출은 증가, 수입은 하락세를 보였다. 중남미는 수출입 모두 증가세를 보였다. 기타는 수출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고. 수입은 증가하였다. 주요 지역별 수출입실적에서는 2006년부터 2010까지 미국, 중국, 일본, EU, ASEAN, 중동, 중남미에 대한 수출, 수입, 수지를 제시하고 있다. 주요 품목별 수출실적에서는 2000년부터 2010년까지 2년 단위로 자동차, 자동차 부품, 반도체, 컴퓨터, 석유화학, 일반기계, 무선통신기기, 가전, 선박류, 철강, 석유제품, 섬유에 대한 수출금액, 증가율, 비중을 제시하고 있다. 원자재가격과 무역수지 추이에서는 1998년부터 2010년까지 연도별 원자재 가격과 무역수지 추이, ‘08년 월별 원자재 수입비중과 무역수지 차이를 국제유가(Dubai,$/B), 로이터/제프리 CRB지수, 무역수지를 통해 설명하고 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의견이 있으시면 내용입력 후 제출하기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