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차 정책자문단 및 전문가 간담회결과 | |||||
| 분야 | 양성평등 > 양성평등정책 | 대통령 | 이명박 | 생산기관 | 대통령실 |
|---|---|---|---|---|---|
| 관리번호 | 1011189100000203 | 생산일자 | 2011.06.28 | ||
| 키워드 | 일·가정 양립, 여성정책, 가족, 청소년, 보육 원문보기 | ||||
| 기록철명 | 여성가족비서관실 임시 과제 | ||||
| 기록철번호 | 1011189000000002 | 입수유형 | 이관 | ||
| 이관일 | 2013.02.13 | 생산시스템 | 업무관리시스템 | ||
| 기록형태 | 기록유형 | 업무관리시스템일지 | |||
| 간담회에 참석한 전문가는 여성정책 4인, 가족·아동 3인, 청소년정책 3인 등 총 9명이었다. 대통령실에서는 고용복지수석 및 여성가족비서관 등이 참석했다. 주요 논의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정책을 강화하기 위해 가족 친화 사회환경 조성, 지역사회 공동체 회복, 아이돌보미 등 가족 돌봄 지원 확대, 복지·노동 정책과의 연계를 통한 가족정책 전달체계 강화를 제안했다. 둘째, 청소년정책에 대해서는 청소년 인터넷 중독 상담·치료 강화 및 전문 치료기관 조성, 위기청소년을 위한 생애 설계 차원의 사회안전망 재정비, 청소년정책의 안정적 추진체계 구축과 마스터플랜 수립 등을 논의했다. 셋째, 보육 및 양육 지원에 대해서는 학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경감을 위한 양육 친화 지역사회 정책, 아동 관련 종합 플랜 수립, 둘째 자녀 보육료 지원 확대와 보육의 질 향상, 보육정보센터를 활용한 양육지원 확대 등을 제안했다. 넷째, 일·가정 양립과 관련해서는 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노동시장의 ‘좋은 일자리’ 확대, 각 부처 정책에 성주류화 전략의 적용 필요성을 제시했다. 이러한 논의에 대해 고용복지수석은 각 대상 분야별 지원 확대는 곤란하다는 입장을 피력하고, 국가가 제도와 정책을 통해 가족 기능을 균형 있게 살려 나가야 한다는 취지로 발언했다. 이 문서는 대통령실 내부에서 전문가 참석 회의가 어떤 방식으로 구성되고, 논의되는지 확인할 수 있는 기록으로 그 의미가 있다. | |||||
동영상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