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안부 기록자료관 설치 검토 | |||||
| 분야 | 양성평등 > 여성보호 | 대통령 | 이명박 | 생산기관 | 대통령실 |
|---|---|---|---|---|---|
| 관리번호 | 1011189100000892 | 생산일자 | 2011.11.17 | ||
| 키워드 | 일본군 ‘위안부’, 과거사 청산, 아카이브, 강제동원 역사관, 여성사 전시관 원문보기 | ||||
| 기록철명 | 아동ㆍ여성보호대책 점검ㆍ관리 | ||||
| 기록철번호 | 1011189000000004 | 입수유형 | 이관 | ||
| 이관일 | 2013.02.13 | 생산시스템 | 업무관리시스템 | ||
| 기록형태 | 기록유형 | 업무관리시스템일지 | |||
| 이 당시 일본군 '위안부' 피해 생존자가 75명에 불과하여 향후 10년 이내 생존자대부분이 사망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역사적으로 중요한 문헌, 증언, 유물자료 등의 수집 및 보존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국회에서도 정미경 의원, 박선영 의원, 김상희 의원 등에 의해 정부 차원의 기념사업이 저조하며,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었고, 소관법률상 기념사업조항의 의무조항화를 추진하고자 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당시 독립기념관에 독립운동사와 연계하여 당시의 피해사를 전시하는 공간이 있었으며, 개인 소장품 위주의 전시를 진행하던 나눔의 집과 건립 추진 중인 정신대책협의회 인권박물관이 있었지만 독립유공자단체의 반발로 건립이 중단된 상황이라고 보고하였다. 향후 계획으로는 ‘13년까지 중요문헌 등 유물자료 수집에 역점을 두고 ’14년 여성사전시관 내에 기록자료관을 별도로 설치하고, 2013년 건립예정인 부산「강제동원 역사기념관」내에 전시관을 운영할 예정이라고 보고하였다. | |||||
동영상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