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전남도청 별관문제(아시아문화전당 건립공사) 관련 최근 동향 및 향후 계획 | |||||
| 분야 | 문화·예술 > 문화재정책 | 대통령 | 이명박 | 생산기관 | 대통령실 |
|---|---|---|---|---|---|
| 관리번호 | 1011192100000387 | 생산일자 | 2009.04.03 | ||
| 키워드 | 구)전남도청, 국립아시아문화전당, 5.18 원문보기 | ||||
| 기록철명 | 문화재 관련 현안 점검 및 현안 조정 | ||||
| 기록철번호 | 1011192000000022 | 입수유형 | 이관 | ||
| 이관일 | 2013.02.13 | 생산시스템 | 업무관리시스템 | ||
| 기록형태 | 기록유형 | 업무관리시스템메모 | |||
| 경위 및 현황에서는 2007년 12월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설계가 완료되고, 2008년 10월 기공식까지 마친 상황에서 ‘구)전남도청보존을 위한 공동대책위원(이하 ‘공대위’) 및 ’5.18유족회‘, ’5.18부상자회‘가 구)도청별관 존치를 주장하는 천막시위를 장기화하였고, 중재안에 대한 입장차이로 ’공대위‘를 제외한 농성이 새롭게 진행됐음을 밝히고 있다. 관련단체 동향에서는 5.18단체, 시민단체 및 문화예술단체, 동구주민 및 일반시민의 동향을 제시하고 있다. 주요 추진경과에서 2008년 6월까지의 추진경과를 제시하였다. 문제해결을 위한 노력에서 구)도청별관 철거 당위성에 대한 이해설득 및 의견수렴, ’공대위‘ 대표단과 문체부 장관 면담, 시민대토론회, 천막시위 단체와 간담회 및 실무협의 등 그동안의 노력을 정리하였다. 향후계획으로 도청별관 문제 해결 전까지 별관을 제외한 전당건립공사는 진행하고, 농성중인 일부 5.18관련 단체와 대화의 창구를 열어놓고 설득 노력을 기울일 것과 물리적 충돌은 배제한다는 원칙을 준수하되, 공사방해금지가처분 및 가압류 신청 등 법적절차 추진으로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하였다. 별첨한 구)도청 별관 원형보존 요구에 따른 시기별 쟁점사항은 박주선의원의 중재를 기점으로 시기를 구분하여 쟁점사항을 보고하였다. | |||||
동영상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