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변화대응 미래수자원전략(안) 주요내용 보고 | |||||
| 분야 | 대통령 | 이명박 | 생산기관 | 대통령실 | |
|---|---|---|---|---|---|
| 관리번호 | 1011231100001150 | 생산일자 | 2010.08.27 | ||
| 키워드 | 녹색성장, 기후변화, 4대강살리기, 녹색성장위원회, 수자원 전략, 홍수, 가뭄 원문보기 | ||||
| 기록철명 | 저탄소 녹색성장 비전 구체화 및 확산 | ||||
| 기록철번호 | 1011231000000022 | 입수유형 | 이관 | ||
| 이관일 | 2013.02.13 | 생산시스템 | 업무관리시스템 | ||
| 기록형태 | 기록유형 | 업무관리시스템메모 | |||
| 본 문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우리나라의 수자원 특성 변화’, ‘기후변화가 물 부족에 미치는 영향 평가’, ‘향후 추진계획 및 대책 주요 내용’ 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참고자료]로 ‘우리나라 기온 및 강수량 전망’, ‘기후변화가 물 부족에 미치는 영향 평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우리나라의 수자원 특성 변화’를 살펴보면 과거 30년 대비 2061∼2090년 기간의 연평균 기온은 약 3.64℃ 상승하고 연강수량은 1,398㎜로 14.0% 증가가 전망되며, 홍수(2.7배) 및 가뭄 위험성(3.4배)이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2060년대는 최대 약 33억톤의 물 부족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며, 심각한 가뭄이 예상된다는 내용이 적시되어 있다. ‘향후 추진계획 및 대책 주요 내용’에서는 ‘4대강 살리기 추진’, ‘생활 및 공업용수 등에 대한 안정적 공급방안 마련’, ‘주요 하천시설물의 치수안전도를 선별적 상향 조정’ 등 3가지 방안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문건은 이명박정부의 기후변화 대응전략에 대한 초기 정책의 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로 의미가 있다. | |||||
동영상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