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상서비스 품질개선프로젝트-2차보고서 | |||||
| 분야 | 대통령 | 이명박 | 생산기관 | 대통령실 | |
|---|---|---|---|---|---|
| 관리번호 | 1011231100001315 | 생산일자 | 2008.04.11 | ||
| 키워드 | 기상청, 기상서비스, 기상오보, 국토해양부, 슈퍼컴퓨터 원문보기 | ||||
| 기록철명 | 기후변화 및 에너지 대책 | ||||
| 기록철번호 | 1011231000000023 | 입수유형 | 이관 | ||
| 이관일 | 2013.02.13 | 생산시스템 | 업무관리시스템 | ||
| 기록형태 | 기록유형 | 업무관리시스템메모 | |||
| 본 문서는 ‘추진 배경’, ‘기상 서비스 제공현황 및 개선 필요사항’, ‘개선방안’, ‘향후 추진계획’ 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별첨자료]의 내용은 확인할 수 없었다. ‘기상 서비스 제공현황 및 개선 필요사항’에서는 기상 예보역량 진단 연구용역(2007년) 결과 기상 예보역량 결정에 있어서 상대적 중요도는 ‘수치예보모델 성능(40%)’, ‘관측자료(32%)’ 및 ‘예보관 역량(28%)’ 순인데 ‘수치예보모델’에서는 최우선 순위의 투자가 필요하며, ‘관측자료’에서는 위성 및 고층 관측이 취약하고, ‘예보관 역량’에서는 동기부여의 기회가 적고 수동적 학습시스템 운영으로 개인 역량과 예보 판단력이 취약한 상태라는 진단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관측자료 정확도 향상 방안’, ‘(2)수치예보모델 개선 방안’, ‘(3)예보관 역량 강화 방안’, ‘(4)독점 운영에 따른 경쟁력 저하 해소방안’, ‘(5)기상정보 전달 체계 개선 방안’, ‘(6)기상청 및 국토해양부 장비 상호 연계운영방안’ 등 6가지 사항이 제시되어 있다. 향후 추진계획에서는 관계기관(국토해양부․기상청․환경부 등)협의체를 구성하여 미래위원회 안건으로 상정 및 개선방안을 확정하여 부처별 실행계획을 시행한다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문건은 ‘기상 서비스 품질개선 프로젝트’의 초안으로 당시 기상청 예보시스템의 문제점과 이명박 정부의 개선방안을 살필 수 있는 문서로 의미가 있다. | |||||
동영상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