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유라시아 정책구상
신유라시아 정책구상
분야 환경 > 환경정책 대통령 이명박 생산기관 대통령실
관리번호 1011231100001607 생산일자 2008.06.23
키워드 유라시아, 통일, 실크로드, 러시아, 남북관계 원문보기
기록철명 국가미래비전 및 전략 수립
기록철번호 1011231000000026 입수유형 이관
이관일 2013.02.13 생산시스템 업무관리시스템
기록형태 기록유형 업무관리시스템메모
본 문서는 ‘왜 유라시아인가: 역사적·지정학적 맥락’, ‘왜 유라시아인가 : 도전과 기회’, ‘비전·전략·추진과제’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왜 유라시아인가 : 역사적·지정학적 맥락’에서는 “탈냉전․소련 해체 이후 세계화 진전이 가속화하는 가운데 유라시아 대륙, 특히 유라시아 대륙의 동서를 잇는 중앙아시아 지역의 지정학적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고 밝히며, 전략적 요충지로 설명하면서 역사적·지정학적인 측면에서 유리시아 의 맥락을 설명하고 있다. 특히 통일된 한국은 “한반도와 유라시아 대륙간 거리를 좁히고, 유라시아를 우리의 대외관계에 또 하나의 핵심축으로 부상시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왜 유라시아인가 : 도전과 기회’에서는 유라시아 중심부 도전과 기회를 SWOT 분석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중앙아시아와 그 주변국에 대한 장기전략 구상 추진이 필요”함을 밝히고 있다. ‘비전·전략·추진과제’ 에서는 신유라시아 구상 철학을 (1)한국인의 활동무대로서 유라시아 재발견, 유라시아 대륙 중심부에 대한 건설적 지분 확보, (2)평화, 번영, 풍요의 21세기 ‘간다라’ 유라시아 구현으로 설명하면서 이를 위한 추진 전략으로 (1)‘MORNING CALM EXPRESS(MCE)TRIAD 전략’, ‘(2)장기적·단계적 가랑비 전략’의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본 문건은 이명박 정부의 유라시아 정책의 비전과 미션, 추진전략의 내용을 살필 수 있는 문서로 의미가 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의견이 있으시면 내용입력 후 제출하기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