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자연보전총회 개최계획 및 기대효과 | |||||
| 분야 | 환경 > 자연보전정책 | 대통령 | 이명박 | 생산기관 | 대통령실 |
|---|---|---|---|---|---|
| 관리번호 | 1011231100003423 | 생산일자 | 2013.02.07 | ||
| 키워드 | 세계자연보전총회, WCC, 자연, 세계리더스대화, 세계자연보전연맹, 제주도 원문보기 | ||||
| 기록철명 | 푸르고 쾌적한 한반도 조성 점검 및 관리 | ||||
| 기록철번호 | 1011231000000055 | 입수유형 | 이관 | ||
| 이관일 | 2013.02.13 | 생산시스템 | |||
| 기록형태 | 기록유형 | 업무관리시스템일지 | |||
| 본 문서는 ‘2012세계자연보전총회 개요’, ‘개회식 행사계획’, ‘기대 성과’, ‘총회 후속조치’ 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참고자료]로 ‘개막식 사전환담자’, ‘세계리더스대화 참석자 명단’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추진 경과’를 살펴보면 2009년 11월, 2012세계자연보존총회 제주도 개최가 확정되었고, 2010년 5월, 2012세계자연보전총회 지원특별법이 제정되었으며, 동년 12월, 세계자연보전총회 조직위원회가 출범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총회의 주요 행사는 ‘개회식(9.6)’, ‘세계리더스대화(9.7~9.11)’, ‘회원총회(9.8~9.15)’이며 개회식의 전체참석자는 175개국 4,000여명(해외 3,000명, 국내 1,000명)이다. ‘기대성과’로는 ‘(1)자연을 기반으로 한 지속가능발전 전략으로 저탄소 녹색성장 제시’, ‘(2)글로벌 환경 리더십 확보’, ‘(3)국내․외 소통과 협력의 장 마련’, ‘(4)GCF, Pre-COP 등 향후 녹색여정의 중간 기점역할’이며, “자연보전과 지속가능성 그리고 자연에 기반한 해결책의 새 시대를 위한 제주선언문, 자연+”라는 제주선언문을 “IUCN 총회사상 최초의 선언문으로 폐회식에서 채택 예정”이라 밝히고 있다. ‘총회 후속조치’로는 “총회결과 확산을 위한 IUCN 협력사업 확대”하고, “결의안 후속조치 이행 및 세계리더스보전포럼 운영”으로 환경 분야의 다보스포럼으로 발전시킨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본 문건은 1948년 최초 회의가 개최된 이래 60여년의 총회 역사상 처음으로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열린 2012년 세계자연보전총회에 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문건으로서 의미가 있다. | |||||
동영상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