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0차 국가고용전략회의 | |||||
| 분야 | 고용 > 고용서비스정책 | 대통령 | 이명박 | 생산기관 | 대통령실 |
|---|---|---|---|---|---|
| 관리번호 | A000009410002647 | 생산일자 | 2010.10.14 | ||
| 키워드 | 고용정책, 원자력발전, 인력양성, 청년실업 원문보기 | ||||
| 기록철명 | 고용 지원 서비스 선진화 | ||||
| 기록철번호 | A000009400000162 | 입수유형 | 이관 | ||
| 이관일 | 2013.02.22 | 생산시스템 | |||
| 기록형태 | 간행물 | 기록유형 | 비전자기록 | ||
| ‘청년 내 일 만들기(제1차 프로젝트)’는 청년고용 실태와 원인, 지금까지 대책 평가, 청년 내 일 만들기 추진계획, 추진일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청년고용의 문제점으로 급격한 고학력화, 산업계 수요와 동떨어진 대학 교과과정, 청년층의 중소기업 취업 기피, 경력자 채용 선호 등이 지적되었다. 대책으로는 공공기관 증원, 청년 사회적기업가 육성, 소방·치안 인력 증원, 해외취업 활성화, 특성화고 졸업자의 취업 촉진 등이 제안되었다. ‘원자력발전 인력수급 전망과 양성대책’은 추진 배경, 원자력발전 인력 현황, 원자력발전 인력수급 및 채용 전망, 원자력발전 인력양성 및 공급 대책, 실천 계획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0년까지 현재의 2배 이상인 약 23,900명의 원전 전문인력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공급은 기계·설계 등 분야에서 원전 유관전공자가 매년 8만 명 내외 배출되지만, 질적 불균형 등으로 현장에 바로 투입하기 곤란하다고 분석했다. 특히 원자력 전공자는 국내 원전, UAE 원전에 필요한 인력은 공급 가능하지만, 원전 추가 수주시에는 수급 불균형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2020년까지 11,900은 이번 대책을 통해 양성하고, 나머지는 기존 대학교 등을 졸업한 인력을 공채, 현장 직업교육을 통해 확보할 것을 주문했다. 또한 원자력 분야 세계 수준의 연구중심 대학 육성, 원자력 기초공동연구소 확대, 세계 원전산업을 선도하기 위한 중장기 전문기술인력 양성 등을 제안했다. 이 문서는 청년고용 실태와 그 대책, 원자력발전 분야의 전문인력 양성에 대한 대책 등을 상세하게 기술하여 이명박 정부 고용정책의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 |||||
동영상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