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선진화를 위한 교직역량 강화방안 | |||||
| 분야 | 대통령 | 이명박 | 생산기관 | 대통령실 | |
|---|---|---|---|---|---|
| 관리번호 | A000009410012726 | 생산일자 | 2009.12.16 | ||
| 키워드 | 교원전문성, 공교육 강화, 교육 선진화, 교육 역량 원문보기 | ||||
| 기록철명 | 국가교육과학기술 자문회의 운영 | ||||
| 기록철번호 | A000009400000630 | 입수유형 | 이관 | ||
| 이관일 | 2013.02.22 | 생산시스템 | |||
| 기록형태 | 간행물 | 기록유형 | 비전자기록 | ||
| 본 문서에서는 선진 교육이란 학교자율화를 구현하는 다양한 선진형 학교들이 출현하고 좋은 교육을 위한 선의의 경쟁과 협력을 통해 구현하며 창의와 인성을 갖춘 균형 잡힌 세계시민을 육성하는 것이라 정의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발전은 우수인재를 양성해온 교육과 교원의 헌신적인 노력이 있어 가능했으나 현재 교직사회는 교원 수급의 불균형이 심해지고 있으며 질 높은 교원양성 기능이 미흡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이어 초등교육을 양성하는 교육대학은 넓은 교원양성이 어렵지만, 중등교원양성기관은 공급 과잉으로 학생들이 임용시험에 매몰되어 있는 처사다. 교직사회의 분위기도 정체되어 있기에 교육수요자, 곧 학생들의 다양한 교육적 요구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며 구체적인 문제점을 짚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배경으로 삼아 ‘신뢰받는 교원과 교직의 활력 제고’라는 목표하에 세 가지 추진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첫 번째 방안으로 교원과 교원양성교육의 질 관리 강화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원평가의 시행 ○부적합교원을 위한 대책 ○교원양성기관의 질 관리 강화 ○우수교원 양성과 교직 개방을 위한 교육전문대학원의 설치를 제안하고 있다. 두 번째 방안으로는 교원이 인정받을 수 있는 체제의 구축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교수·학습 활동 중심 자격제도인 수석·선임교사제의 도입 ○학습, 연구능력을 향상하는 학습연구년제 도입 합리적인 보수 체제 구축 ○우수교사에 대한 인증 및 관리체제 구축을 제안하고 있다. 세 번째 제안으로는 교직사회 활력을 위한 교직사회의 개방 확대를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교원의 사회 체험 기회 확대 ○ 개방형 교장 공모 확대 ○교육장 공모제 도입 ○교직 개방에 따른 교원양성특별과정 설치를 제안하고 있다. | |||||
동영상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