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 교육과정 개편 구상(안)
교과 교육과정 개편 구상(안)
분야 교육정책 > 교육정책, 현안 대통령 이명박 생산기관 대통령실
관리번호 A000009410012735 생산일자 2010.07.30
키워드 교육과정 개편, 창의·인성 교육 원문보기
기록철명 국가교육과학기술 자문회의 운영(2)
기록철번호 A000009400000632 입수유형 이관
이관일 2013.02.22 생산시스템
기록형태 간행물 기록유형 비전자기록
본 문서에서는 근일 교육현장 대두되고 있는 문제는 크게 두 가지로 파악하고 있다. 첫 번째는 수업량 과다로 인해 창의·인성·교육과 교수-학습 개선에 한계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글로벌 창의인재 육성을 위해 교실에서의 창의·인성 교육은 필수지만 수업량의 지나치게 많아 교수-학습 개선을 위해 교사가 수업역량을 발휘하고 계발하는 데 근본적인 한계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두 번째는 유·초·중·고 교육의 연계성 부족해 학습부진이 심화되고 흥미도가 저하한다는 것이다. 교과끼리 또는 교과 내 내용 영역 간 연계체제가 미흡하여 분절적이고 단편적 지식 전달과 학습이 전개되고 있는데 이처럼 체계적이지 못한 교육 내용의 실정은 학생들의 학습부진을 심화시키며 또한 학습의 흥미도를 저하케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이런 점들을 근거로 입시제도와 교원전문성에 주목했던 「2009개정 교육과정」 총론을 개정해 창의·인상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을 제시하고 있다. 큰 방향은 총 4개로 1)5개 교과군 6개 교과 학습의 적정화 2)교과 교육과정의 연계체제 확립 3)교육내용 통합·융합의 추진 4)명확한 성취기준 제시이다. 글로벌 사회에 대응하고 미래사회를 준비하는 교육콘텐츠를 제시할 필요도 언급하고 있다. 이에 대한 교육 목표로는 1)다문화·다민족·글로벌 사회에 대한 준비를 통한 나와 다른 사람에 대한 이해와 협력 강화, 나라사랑에 기반한 국가정체성 교육 강화 2)환경, 녹색성장과 같은 전 지구적 관심사에 대한 대응 두 가지를 제시하고 있다. 관련 정책에 대한 보완점으로는 먼저 교육과정 개발체제의 혁신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위해 1)교과 교육과정 개발 체제 정비 2)교과 교육과정 개발·검토·인증 체제 구축 3)「교육과정→교육과정해설서→교과서」 개발 단계 조정을 제안하고 있다. 두 번째로는 교수-학습방법의 개선 지원을 제시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1)교사의 수업 전문성 개발 지원 강화 2)교수-학습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교육 여건 개선 3)창의 역량의 극대화를 위해 평가혁신을 지속 추진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의견이 있으시면 내용입력 후 제출하기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