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교교육 내실화를 위한 교사의 수업전문성 제고 방안(시안) | |||||
| 분야 | 교육정책 > 교육정책, 현안 | 대통령 | 이명박 | 생산기관 | 대통령실 |
|---|---|---|---|---|---|
| 관리번호 | A000009410012816 | 생산일자 | 2009.09.02 | ||
| 키워드 | 공교육 강화, 교원전문성, 교육 역량 강화 원문보기 | ||||
| 기록철명 | 주요 교육정책의 종합조정(2) | ||||
| 기록철번호 | A000009400000639 | 입수유형 | 이관 | ||
| 이관일 | 2013.02.22 | 생산시스템 | |||
| 기록형태 | 문서 | 기록유형 | 비전자기록 | ||
| 본 문서는 공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이 좌우하며, 교사의 질은 수업전문성이 핵심요소라 하며 공교육에 있어 교사의 질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우수인재들이 지속적으로 교직에 진입하고 있으나, 진입 이후의 전문성 신장 기제는 미흡하며 현직교사들의 수업개선 등 전문성 신장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교원능력개발평가는 시범적인 실시에 그치고 있어 지속적인 지원이 부족하다는 점을 문제로 지적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사의 수업전문성 제고에 초점을 두어, 교원의 양성-임용, 능력개발 및 수업 전념 여건 조성 등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개진한다. 본 문서는 정책 영역을 삼분하여 각 정책 영역별 주요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첫 번째 영역으로는 우수교사의 양성과 임용을 뽑고 있다. 이에 대한 주요 과제로는 ·교원양성기관 평가 강화 : 2010년부터 대폭 강화된 3주기 교원양성기관 평가 실시 및 행·재정적 지원과 연계, 교원양성 단계부터 체계적인 질적 관리를 통하여 정규교원 임용 시 현장에 적응가능한 수업전문성 확보 ·수업 전문성 중심의 교사 임용 : 수업전문성 평가 위주로 임용시험 체제 개편, 수업실연 배점 확대, 필기중심의 시험체제 개선으로 수험생 부담 완화 ·교원의 복수전공 활성화 : 사범계확과, 교직과정 설치학과의 복수전공 확대, 현직교원의 부전공 확대 및 복수전공 제도 도입, 복수전공자, 부전공자에 대해 지원 방안 마련을 제안하고 있다. 두 번째 영역으로는 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 지원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대한 주요 과제는 ·교원능력개발평가 전면 실시: 수요자 만족 제고 및 수업 전문성 신장에 초점을 둔 교원능력개발평가제 전면 실시, 수업 전문성 신장을 촉진하는 교원능력개발평가 체제 구축, 수업전문성 제고를 위한 평가결과의 활용 ·맞춤형 교원연수실시 : 교원능력개발평가 결과에 따른 교사 개인별 맞춤형 연수 실시. 맞춤형 연수 실시를 위한 교원연수 지원체제 개선. 학교전문경영인으로 학교장을 육성하기 위한 연수 지원 강화 ·평가결과에 따른 전문성 지원 : 우수교사 심화연수와 미흡교사 집중연구, 단계별 장기 집중연수 운영방법 다양화 ·학교 단위 성과급제 도입 : 학교단위의 집단적 성과를 고려한 성과급 제도 마련. 학교 단위 성과급 지급방식, 비율은 사도교육청이 자율적으로 선택. 교원 성과급 지급지침에 따라 시도교육청이 자체 계획으로 추진 ·수업 잘하는 우수교사 인증제 확산 : 국가 수준의 우수 교사 인증제 ‘TSE’ 추진, 시·도교육청별 다양한 우수교사 인증제 공모 사업 실시, 시도교육청의 특색있는 우수교사 인증제 확산을 위한 행·재정적 지원 방안 마련을 핵심과제로 제안한다. 마지막 영역은 수업전념 여건과 분위기 조성을 제시한다. 이에 대해서는 ·학교 내 행정업무 처리체계 개편을 통한 행정업무 경감 : 단위학교내 행정업무 처리 전담모형 개발과 전담모형에 따른 시범학교 운영 추진 ·국감 등 국회 자료요구 관련 교현장 업무경감 추진 : 이미 보유한 교육 관련 통계자료 중심으로 “국감자료공유 사이트” 개설, 시도교육청 차원의 학교현장 업무부담 경감 대책 마련 ·순회교사 제도 활성화 : 교육청 소속 순회교사 확대 실시, 시도교육청별 순회교사 운영 목표제 실시, 순회교사에 대한 상시출장 여비 지급 등 인센티브 강화방안 마련 ·교사의 수업 공개 활성화 : 학기별 2회 이상 전체교사의 수업공개 의무화, 학부모의 수업 공개 요청 절차 마련, 수업 공개 활성화 기반조성을 주요 과제로 제안한다. | |||||
동영상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