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종합계획(안)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종합계획(안)
분야 대통령 이명박 생산기관 대통령실
관리번호 A000009410015873 생산일자 2009.01.13
키워드 보건산업, 기초과학연구원, 대전, 교육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 국토해양부 원문보기
기록철명 보건의료산업 육성(1)
기록철번호 A000009400000833 입수유형 이관
이관일 2013.02.22 생산시스템
기록형태 문서 기록유형 비전자기록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종합계획은 지난 30년간의 모방(Catch-up) 전략의 한계를 넘어 기초연구 역량 기반의 창조형 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수립되었다. 이 계획의 비전은 기초과학의 획기적인 진흥을 통한 신성장 동력 창출 및 세계 일류국가 건설이며, 세계적 기초과학 연구거점 구축, 과학과 비즈니스의 융합을 통한 미래 신산업 창출, 저탄소 녹색성장 성공 모델 구현을 목표로 했다. 5대 추진과제는 첫째, 세계적 수준의 기초과학연구원 설립·운영이다. 국내외 석학급 연구자를 유치하고 개방적·자율적 연구 체제로 운영하며, 네트워크형 시스템을 활용할 계획이었다. 둘째, 대형연구시설로서 중이온가속기 설치이다. 당시 국내에는 없는 시설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상징적 역할을 수행하고 기초과학 역량 강화에 필요했다. 가장 먼저 추진할 것을 권고했다. 셋째, 지속 성장 도시조성을 위한 비즈니스 기반 구축이다. NT, BT, IT, GT 등 R&D 중심의 지식기반 기업을 유치하고, 연구 성과의 사업화 기반을 강화할 계획이었다. 넷째, 과학과 문화예술이 융합된 국제적 도시환경 조성이다. 우수한 교육환경(과학고, 외국대학 유치), 글로벌 정주 환경(외국인 지원센터, 외국인 학교), 유비쿼터스 녹색환경 조성 및 창조적인 공간 구현을 추진하고자 했다. 다섯째, 기초과학 거점 조성 및 지역연구거점과의 네트워크화이다. 기초과학연구원과 거대연구시설이 들어서는 거점지구를 중심으로 인근의 대학, 연구소, 산업단지 등 기능지구와의 연계를 통해 시너지를 창출하려 했다. 이 사업은 특별법 제정 및 추진지원단 재편 등을 통해 실행되며, 2009년부터 2015년까지 7년간 총 3조 5,487억 원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의견이 있으시면 내용입력 후 제출하기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