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0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방향(안) | |||||
| 분야 | 보건산업 > 보건산업정책 | 대통령 | 이명박 | 생산기관 | 대통령실 |
|---|---|---|---|---|---|
| 관리번호 | A000009410015940 | 생산일자 | 2009.08.19 | ||
| 키워드 | 국가과학기술위원회, 보건산업, 소재산업, 신재생에너지, 위성발사체 원문보기 | ||||
| 기록철명 | 보건의료산업 육성(7) | ||||
| 기록철번호 | A000009400000839 | 입수유형 | 이관 | ||
| 이관일 | 2013.02.22 | 생산시스템 | |||
| 기록형태 | 문서 | 기록유형 | 비전자기록 | ||
| 국가과학기술위원회의 심의 대상은 계속사업 59개, 신규사업 19개 등 총 78개 사업이었으며, 2010년도 예산요구액은 6.3조 원 규모였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첫째, 중점 투자 분야 예산 배분방향이다. 1)‘녹색기술’ R&D는 27대 중점 육성 기술을 중심으로 투자를 확대하고, 부처 간 역할 분담 및 사업 연계 강화를 통해 투자 효율화를 추진한다. 2)신성장동력 R&D 사업 투자를 대폭 확대하여 13개 신성장동력산업의 조기 성장을 지원하며, 정부와 민간의 명확한 역할 분담을 강조한다. 3)기초·원천 연구 예산 비중은 2012년까지 R&D 예산의 50% 수준으로 확대하는 목표를 위해 2010년에 전년 대비 약 3~4% 증가가 필요하며, 특히 개인·소규모 기초연구 및 출연연구기관의 연구사업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 둘째, R&D 투자 효율화이다. 1)신재생에너지 분야는 에너지원별 민간·정부 역할 재조정, 기술 개발 전 주기적 지원 체계 구축, 국제공동연구 및 범부처 협력 등 전략적 협력을 강화한다. 2)S/W 산업은 정부와 민간의 역할 분담을 통한 시장 왜곡 완화, 미래 기초·원천기술 개발, 정보 보안·보호 부문 지속 투자 및 새로운 ICT 패러다임의 와해성 신기술 개발 지원을 추진한다. 3)부품·소재 산업은 세계 일류기술 확보, ‘녹색성장’ 및 신성장동력 정책과의 연계 강화, 그리고 범정부 차원의 추진체계 강화를 통해 경쟁력을 높인다. 4)우주 분야는 기술자립도 향상을 주요 목표로 하여 발사체·위성 등 우주 핵심 기술 위주의 하향식(Top-down) 개발을 추진한다. 5)인수 공통전염병 대응을 위해 범부처 협동 연구체계를 구축하고, 기초·원천기술 및 백신 기술 개발 등 R&D 투자를 대폭 확대한다. 셋째, 세부 사업별 투자 우선순위이다. 2009년 대비 2010년 예산의 확대, 전년 수준 유지, 축소 여부를 기준으로 3단계 등급을 부여했다. 계속사업 59개 중 35개가 투자 확대, 12개가 전년 유지, 12개가 투자축소로 결정되었으며, 신규사업 19개 중 2개 사업은 수용 불가 의견이 제시되었다. 이 문서는 2009년 당시 정부가 국가연구개발 예산을 어떤 분야에 집중적으로 투자할지에 대한 국가 연구개발 투자 전략과 우선순위 제시한 점에 있으며, 특히 ‘녹색기술’ R&D 확대, 신성장동력 R&D 투자 대폭 확대, 기초·원천 연구 비중 확대 등은 미래 국가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정책적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 |||||
동영상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