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초과학연구원 설립 추진계획(안) | |||||
| 분야 | 과학기술연구개발 > 과학기술인재정책 | 대통령 | 이명박 | 생산기관 | 대통령실 |
|---|---|---|---|---|---|
| 관리번호 | A000009410022135 | 생산일자 | 2011.02.08 | ||
| 키워드 | 기초과학연구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기초과학 원문보기 | ||||
| 기록철명 | 대학.연구기관 역량강화 점검지원(1) | ||||
| 기록철번호 | A000009400001208 | 입수유형 | 이관 | ||
| 이관일 | 2013.02.22 | 생산시스템 | |||
| 기록형태 | 문서 | 기록유형 | 비전자기록 | ||
| 본 문서에서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특별법이 통과되며 기초과학연구원 설립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세부 추진계획 작성이 필요함을 밝히고 있다. 이어 연구원 설립에 필요한 핵심 내용과 추진계획을 구체적으로 작성하여 특별법 시행과 동시에 연구원 설립 관련 업무를 수행할 필요와 연구원 설립 관련 사무를 처리할 설립위원 구성·운영방안과 설립위원을 보좌하여 설립 업무를 수행할 설립 T/F 구성·운영 방안을 사전에 마련하여 설립 업무 수행의 효율성을 도모할 필요, 연구원 설립과 동시에 원장을 임명한 후 원장이 과학위원회 구성·운영, 연구단장 선정 및 인재유치 등의 업무를 곧바로 수행할 수 있도록 연구원 운영계획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1. 설립위원 : 기초과학연구원 설립에 필요한 각종 사무를 처리할 설립위원의 구성·운영 필요에 따라 우리나라 과학기술계 대표를 중심으로 5인 이내의 설립위원을 구성하며 설립위원의 결정에 따라 분과위원회를 둘 수 있음을 제시한다. 설립위원의 역할로는 연구원 설립에 관한 사무처리, 연구원 운영규정 검토 및 원장 후보 추천, 연구원 건설 관련 업무를 제시하며 설립위원 후보(안) 구성 기준은 과학벨트 자문위원 및 전문위원회 위원, 과학기술 정책·행정 분야의 전문가, 주요 과학기술 관련 기관장 및 자연과학대학 학장 등으로 제시하고 있다. 올해 3월에는 설립위원을 구성하여 4월에는 설립위원 위촉·임명 및 1차 설립위원회를 개최, 9월에는 연구원 설립인가를 신청하고 12월에는 연구원 설립등기를 신청할 계획을 밝히고 있다. 2. 연구원 설립 T/F : 설립 T/F는 설립위원을 보좌하여 행정업무 수행을 위한 설립 T/F 구성과 운영에 필요하며 향후 설치할 과학벨트기획단 소속 공무원과 연구원 설립에 필요한 다양한 외부전문가로 구성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한다. 설립 T/F는 향후 구성될 과학벨트기획단 소속 공무원 5명과 외부전문가 5명 등 10여 명으로 구성되며 설립 T/F 팀장 : 과학벨트기획단의 연구원 설립 관련 업무 소관 과장(현 과학기획팀장)이 담당한다. 설립 T/F는 연구원 설립등기 이후 원장 및 연구원의 관련 부서에 사무를 인계한 후 해체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설립 T/F는 설립위원을 보좌하여 연구원 설립, 운영, 건설 등 제반 업무 수행하고 설립위원 산하 분과위원회를 운영하여 주요 안건을 마련하여 설립위원회에 상정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3. 원장의 기본 처우 : 원장의 지위는 연구기관의 임원(상근)이자 대표자이며 연임이 가능한 5년의 임기, 연봉은 5억원 내외로 규정하고 있다. 원장 임명에 앞서 원장 후보 발굴을 위한 Search Committee를 구성·운영하며 설립위원회 산하의 인재유치분과 위원을 중심으로 구성하고 우너장 후보자들의 발굴 및 유치 관련 제반 업무를 담당할 것을 제시한다. 4. 연구인력 유치 : 우수 연구인력의 유치를 위해서는 본원의 25개 사업단에서 약 1,250명의 연구인력을 유치해야 하며 연구인력은 석학급 연구자 약 25명, 중견연구자 약 100명, 신진연구자·방문연구·연구보조 등 약 1,125명으로 구성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연구인력 유치를 위해서는 우수 연구자 POOL을 구축하고 이중소속제와 겸직제를 도입하는 것을 제시한다. 연구·행정 지원인력은 개원 및 관련 업무 추진 일정에 따라 3단계의 인력 채용 계획 수립할 것을 제시하며 특히, 개원을 준비하는 1단계 채용 인력의 기초과학연구원 운영 토대 마련과 개원 이후의 업무 연계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본 문서를 통해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사업의 하나인 기초과학연구원의 설립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
동영상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