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국제과학원 설립.운영 방안 | |||||
| 분야 | 대통령 | 이명박 | 생산기관 | 대통령실 | |
|---|---|---|---|---|---|
| 관리번호 | A000009410022250 | 생산일자 | 2010.02.25 | ||
| 키워드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신행정수도, 세종국제과학원 원문보기 | ||||
| 기록철명 | 전략적 연구개발(R&D)투자 점검 지원(4) | ||||
| 기록철번호 | A000009400001232 | 입수유형 | 이관 | ||
| 이관일 | 2013.02.22 | 생산시스템 | |||
| 기록형태 | 문서 | 기록유형 | 비전자기록 | ||
| 본 문서는 세종국제과학원의 설립목적을 단기성과 중심의 모방형 기술연구개발을 탈피하여 기초연구 인프라 확충을 통한 창의적이고 선도적인 연구 성과 창출 기반 마련을 위하는 데 있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세계적인 우수 과학자들이 수준 높은 연구를 위해 모이는 허브 역할을 함으로써 우리나라 연구역량을 강화하기 위함이라 언급하고 있다. 세종국제과학연구원은 기초과학연구원, 가속기연구소, 국제과학대학원, 첨단융복함연구센터 등 4개의 핵심기관과 국제자문위워회, IPR 전략센터, 벨트조성지원센터와 같은 지원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운영방식으로는 조직 및 사업단 운영과 연구분야 선정 등에 자율권을 부여해 기관의 독자적인 운영을 보장하고 4개 핵심기관 기관장이 각 기관을 독립적으로 운영하되 기관 간 교육 또는 연구에 상호참여하여 협력 관계를 구축하는 등 각 기관 사이 상호협력을 중시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안정적으로 창의적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고 국제 공동연구 수행, 분소 설치 등을 통한 상호 연구역량을 활용하여 국내외 협력을 강화한다. 세종국제과학원의 핵심기관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1)기초과학연구원 : 세종국제과학원의 핵심 연구시설로서 세계적인 기초과학 연구를 수행하여 국내 기초연구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역할로 규정한다. 규모는 연구단을 필요 수만큼 연차적으로 설치하며 연구분야는 기존에 대학이나 출연(연), 기업 등이 수행하기 어려운 분야인 기초과학이나 대형 장기 원천연구라 밝히고 있다. 운영방식은 개방형 연구 시스템을 도입하여 연구단의 50%를 Site-lab 형태로 외부에 설치하며 창의적이고 도전적 연구 분위기를 조성하여 창의적·모험적 연구에 도전하는 교육·연구문화를 창달할 것임을 제안하고 있다. 2)가속기연구소 : 목적·역할로는 중이온가속기를 기존 과학기술의 한계를 뛰어넘는 선도적 연구기반으로 구축·활용하여 노벨상에 도전하며 국제적 연구 네트워킹 및 국내외 우수인력 유치의 구심점이 되는 것을 역할로 제시한다. 규모는 세계 최고 수준으로 설계, 구축하며 물리·생명과학 등 기초과학, 재료, 원자력·에너지 분야를 연구할 것을 제안한다. 가속기 건설 준비단계부터 선진국의 가속기 건설·운영 경험 활용과 협력해 해외 파트너쉽을 구축하며 세계 최고 수준의 장비를 이용하기 위해 모여든 국내외 우수 석학들과의 공동연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국·내외 연구자들이 중이온 가속기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운영방안으로 제안하고 있다. 3)국제과학대학원 : 세계적인 대형 기초연구 시설과 기초과학연구원의 세계적 석학을 바탕으로 기초·융합학문 분야를 연구하고 인재를 양성하고 우수두뇌의 해외 유출을 막고 전 세계적 우수인력을 강력히 흡입할 수 있는 세계적 교육환경을 구축하는 것을 역할로 규정한다. 규모는 석·박사 학위 과정 1,200명(석사 600명, 박사 600명)이며 연구 분야로는 기초과학과 융복합학문을 제시한다. 학생들에 대하여는 ○국·내외 최고 수준의 학생 선발 ○외국인 학생 유치 촉진(총 정원의 30% 이상)하고 ODA와도 연계 ○국내외 석학 간 학생 학위 과정에 연계·인정을 통해 해외 우수인재의 국내 유입을 촉진하는 것을 제안한다. 교수진은 ○국내외 최고 수준의 교수진을 구축 ○세계적 석학들을 위한 매력적인 연구여건을 마련할 것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의 대형연구장비 등을 적극 활용하여 세계 최고수준의 연구시설과 교육환경을 구축한다. 4)첨단융복합연구센터 : 기존 출연(연) 폐쇄적인 연구시스템을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개방형 연구시스템을 도입하고 중이온가속기 등 대형연구시설을 활용하여 기존에 연구하지 못한 대형 융복합 연구과제를 수행하여 세계적 원천기술을 확보하는 것을 역할로 규정한다. 규모는 융복합 과제 발굴에 따라 필요 수만큼 운영하며 연구 분야는 국가 주도로 세계 기술 선도가 가능한 최첨단 융복합 과제로 제시한다. 운영방식은 ○연구정거장 제도를 도입하여 상근인력을 제외한 연구인원들은 평소 소속기관에서 연구하다가 필요 시 센터로 와 근무 ○국내외 대학, 연구기관 등에 연구단(Site-lab)을 설치하여 기존 연구시설과 인프라를 연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 출연(연)의 연구역량을 효과적으로 결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 |||||
동영상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