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부처 신약개발 공동운영위원회` 운영계획
`범부처 신약개발 공동운영위원회` 운영계획
분야 과학기술정책 > 과학기술정책, 현안 대통령 이명박 생산기관 대통령실
관리번호 A000009410022439 생산일자 2010.04.01
키워드 연구개발사업(R&D), 신약개발, 미래선도산업 원문보기
기록철명 과학기술현안 분석 및 상황 대응관리(3)
기록철번호 A000009400001257 입수유형 이관
이관일 2013.02.22 생산시스템
기록형태 문서 기록유형 비전자기록
본 기록은 국내 신약개발 산업은 신약개발 R&D 투자확대와 경험 확보가 필요, 체계적·장기적 육성 체계의 마련과 부처간 협력, 연구단계별 효율적 연계 체계가 필요성을 거론하며 국내 신약개발의 현황과 문제점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기반해 신약개발의 효율적인 성공을 위한 관련 부처 간의 유기적인 공유체계를 마련하고 신약개발 전주기를 고려한 정책기획, 과제선정 및 관리, 성과 활용 측면에서 범부처 간의 사전 협의와 조정을 위한 범부처 신약개발 공동운영위원회를 운영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본 운영위원회는 국과위 사회기반기술전문위원회 산하 소위원회로 구성하여 범부처 신약개발 사업의 전문 위원회로서 기능하며 주요 임무는 부처 간 정책·기획, 연구성과 등에 대한 체계적인 연계와 협력을 위한 컨트롤타워와 연구수행자와 관련 기관들과의 소통에 있어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할 것을 제시한다. 공동운영위원회 위원구성은 위원장(국가과학기술위원회 시회기반기술전문위원회 위원장), 총괄위원회(위원장을 포함하여 국과위 위원, 관련 부처·청의 담당 과장급 공무원 및 전문위원 등 14명 이내 구성), 자문위원회(민간협의체 및 관련 협회장으로 구성), 설문위원회(관련 부처·청의 담당 사무관/연구관, 각 부처 전문기관 실무자,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등 15명 이내로 구성), 간사 기구(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로 구성할 것임을 밝히고 있다. 신약개발 공동위원회의 주요 활동내용은 ○정책기획 : 신약개발 정부/민간 투자 확대 노력, 신규 과제기획 시 공동 참여, 전략 분야 선정 및 육성 기여 ○과제선정 : 기존 신약개발 관련 과제 현황 검토, 신규 프로그램 발굴 공동 논의, 신약개발 단계별 연계를 고려한 과제선정 ○과제관리 : 진도관리 및 과제정보 공유 활성화, 평가기준의 개선 추진 ○성과활용 : 성과정보 공유의 장 마련, 부처 간 성과 이전 활성화(가산점 제도), 기술평가 및 기술이전 촉진, 민간 대상의 공청회 개최 추진과 같이 네 가지 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후에는 범부처 신약개발 방안을 VIP보고 안건으로 상정할 것이며 향후 계획으로는 2010년 3월 말에는 ’범부처 신약개발 공동운영위원회‘ 운영방안(초안)을 마련하고 2010년 4월 6일에 1차 과장급 회의, 2010년 4월 중에는 필요하다면 실무위원회 합숙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며, 2010년 5월 11일에는 1차 총괄위원회 및 실무위원회 회의, 2010년 6월 초에는 2차 총괄위원회 및 실무위원회 회의, 2010년 7월 초 3차 총괄위원회 및 실무위원회 회의를 거쳐 2010년 8월 말에 VIP 보고를 가질 것임을 언급하고 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의견이 있으시면 내용입력 후 제출하기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