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벤처 활력회복 및 재도약방안 (요약) | |||||
| 분야 | 중소기업·소상공인 > 창업·벤처정책 | 대통령 | 이명박 | 생산기관 | 대통령실 |
|---|---|---|---|---|---|
| 관리번호 | A000009410063105 | 생산일자 | 2008.10.30 | ||
| 키워드 | 벤처기업, 창업, 신성장동력 산업 원문보기 | ||||
| 기록철명 | 벤처 기업 육성정책의 협의.조정 | ||||
| 기록철번호 | A000009400003714 | 입수유형 | 이관 | ||
| 이관일 | 2013.02.22 | 생산시스템 | |||
| 기록형태 | 문서 | 기록유형 | 비전자기록 | ||
| 「기술창업 활성화대책」 추진현황 및 추가대책에서는 총 42개 과제 중 17%에 해당하는 7개 과제를 완료하였다고 보고하면서 잔여 과제의 지속적인 추진현황을 보고하고 있다. 추가대책으로는 사회전반에 도전적인 창업문화 형성, 대학·연구기관의 기술창업 여건 조성, 창업보육센터의 대형화·특성화 및 기술창업교육 강화, 공예·디자인 등 틈새 창업시장 발굴 육성을 제시하였다. 벤처 활력 회복 및 재도약방안은 벤처캐피탈 산업 선진화 및 당면 금융애로 대응, 벤처기업을 신성장 동력산업의 뿌리로 육성, 글로벌 스타 벤처기업 육성, M&A 등 회수시장의 활성화, 벤처지원제도 정비 및 시스템 혁신으로 구성되어 있다. 벤처캐피탈 산업 선진화 및 당면 금융애로 대응에서는 민간자본과 정부예산 확대를 통한 벤처 투자재원 2조원 달성과 중소·벤처기업 자금애로 대응 강화 및 금융이용 환경개선을 제시하였다. 벤처기업을 신성장 동력산업의 뿌리로 육성에서는 지식서비스 산업 육성, Green Technology 등 신성장 동력산업의 벤처기업 육성을 제안하였다. 글로벌 스타 벤처기업 육성에서는 선도기업과 신생벤처간 「소벤처생태계」조성, 벤처기업의 글로벌 진출 지원 강화를 제시하고 있다. M&A 등 회수시장의 활성화에서는 코스닥 구조 개편 및 제도개선을 통한 시장 활성화, M&A 전담기관 설치 및 제도개선을 제시하였다. 벤처지원제도 정비 및 시스템 혁신에서는 혁신형기업 관련법령 체계 개편(벤처법, 창업지원법 등 4개 법률), 벤처기업 확인제도를 단기적으로 개편하여 시장에서 인증하는 제도만 유지, 벤처기업 졸업제 및 일몰제 도입 등 지원제도 정비를 제시하고 있다. | |||||
동영상 보기